새봉 ()

상월대사시집
상월대사시집
불교
인물
조선 후기, 편양파의 주류 계보를 이은 승려로 화엄학에 정통했으며, 『상월대사시집』을 저술한 학승.
이칭
상월(霜月)
혼원(混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67년(영조 43)
출생지
전라남도 순천시
주요 저서
상월대사시집
주요 작품
상월대사시집
내용 요약

새봉(璽封, 1687~1767)은 조선 후기 편양파의 주류 계보를 이은 승려이다. 그는 화엄학에 정통하였으며, 『상월대사시집(霜月大師詩集)』을 저술한 학승이다. 선암사(仙巖寺) 극준(極俊)에게 출가했고, 소요파 화악 문신(華岳文信)에게 구족계를 받았으며, 편양파 설암 추붕(雪巖秋鵬)의 법을 이었다. 새봉이 강의했던 1754년 선암사 화엄대회에는 1,287명이 참여해 성황을 이룰 정도로 그의 강학은 유명했다. 대둔사(大芚寺) 제9대 종사로서 선암사와 대둔사 등에 탑과 비가 세워졌다.

정의
조선 후기, 편양파의 주류 계보를 이은 승려로 화엄학에 정통했으며, 『상월대사시집』을 저술한 학승.
가계 및 인적사항

새봉(璽封, 1687~1767)은 1687년 전라도 순천에서 태어났고, 속성은 손씨(孫氏)이다. 법명은 새봉(璽篈), 법호는 상월(霜月), 자는 혼원(混遠)이다. 설암 추붕(雪巖秋鵬)으로부터 편양파(鞭羊派)의 법맥을 이었고, 해남 대둔사(大芚寺, 현 대흥사)의 제9대 종사로 추숭(追崇)되었다.

주요 활동

새봉은 11세에 조계산 선암사(仙巖寺)의 극준(極俊)에게 출가했고, 16세 때 소요파(逍遙派) 화악 문신(華岳文信, 1629∼1707)으로부터 주1를 받았다. 18세 때 편양파 월저 도안(月渚道安)의 제자 설암 추붕(雪巖秋鵬, 1651∼1706)에게 배우고 주2을 전수하였다. 환성 지안(喚醒志安), 남악 태우(南嶽泰宇) 등 당대의 종장들에게 수학했고, 1713년(숙종 39) 순천 선암사(仙巖寺)에서 개당하여 강학에 힘썼다. 1748년(영조 24)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 1750년에 주표충원장(主表忠院長) 겸 국일도대선사(國一都大禪師)가 되었다.

새봉이 강의했던 1754년 3월 16일부터 4월 3일까지 선암사에서 열린 화엄대회(華嚴大會)에는 1,287명이 참여해 성황을 이루었다. 당시 참여한 회중(會衆)의 명단이 『해주록(海珠錄)』 1권에 나오는데, 새봉의 제자 용담 조관(龍潭慥冠)을 비롯한 참가자의 명단이 모두 기재되어 있다. 새봉은 1767년 10월 81세의 나이에, “물은 흘러서 다시 바다로 가고 달은 떨어져도 하늘을 떠나지 않는다(水流元去海 月落不離天).”라는 임종계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제자 탁선(卓璿)이 그의 유골을 수습하여 초제(醮祭)를 지내기 위해 묘향산에 갔다가 3과의 사리를 얻어 오도산(悟道山), 선암사, 대둔사에 나누어 봉안하였다.

학문과 저술

새봉은 ‘강의로 진정한 이해를 밝히고 마음으로 지혜를 깨달아 실천함’을 법문으로 삼고, 계율을 엄정히 지켜, 부휴계(浮休系)의 무용 수연(無用秀演, 1651-1719)으로부터 환성 지안 이후 제1인자라는 평가를 들었다. 일상의 수행으로 참선 외에도 매일 1불(佛) 5보살의 명호를 5,000번씩, 염불을 1,000번씩 염주로 수를 세며 외웠다고 한다.

또한 "유가의 아직 드러나지 않은 기상(氣像)은 불가의 있는 그대로의 이(理)이고, 유가의 태극(太極)은 불가의 일물(一物)이며, 유가의 이일분수(理一分殊)는 불가의 일심만법(一心萬法)이다."라고 하여 유교와 불교가 서로 다르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반관즉견성(返觀卽見性)’을 내세워 마음의 본원으로 되돌리는 반관(返觀)의 공부가 없으면 자기 심성에 무익하므로 반드시 자신의 마음으로 불심(佛心)을 주3할 것을 역설하였다.

그가 쓴 시를 모은 『상월대사시집(霜月大師詩集)』은 1780년(정조 4)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본래 두 권 분량의 시가 있었지만, 상당수가 분실되어 한 권으로 엮어 펴냈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새봉의 비는 선암사와 대둔사에 건립되었는데, 대둔사 비의 비문은 1782년 당시 남인의 영수였던 채제공(蔡濟恭)이 썼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열전(東師列傳)』
『상월대사시집(霜月大師詩集)』
『한국고승비문총집』

단행본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신구문화사, 2010)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 출판부, 2021)
주석
주1

비구와 비구니가 지켜야 할 계율. 비구에게는 250계, 비구니에게는 348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가사(袈裟)와 바리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