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금강사 소장 전적 ( )

구미 금강사소장전적 / 선가귀감
구미 금강사소장전적 / 선가귀감
불교
문헌
국가유산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소장된 복장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구미금강사소장전적(龜尾金剛寺所藏典籍)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4년 10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구미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소장된 복장유물.
개설

구미 금강사는 1952년에 창건된 사찰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금동관음보살입상이 봉안된 곳이다. 전적류는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다라니 3점과 전적 3책으로, 2004년 10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다라니는 「태장계만다라(胎藏界曼茶羅)」,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一切如來心秘密全身舍利寶篋印陀羅尼)」, 「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全身舍利寶篋印陀羅尼)」 등 3점이고, 전적은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선가귀감(禪家龜鑑)』 등 3책이다.

『법보단경』은 『금강경』에 기초하여 반야삼매를 설하고 일체법이 무상무념(無想無念)임을 설명한 것으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조사어록(祖師語錄)으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해박한 사상과 간결한 문체 때문에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 일본 등에서는 경전과 동등하게 취급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법보단경』의 판본으로는 돈황본(敦煌本) · 종보본(宗寶本) · 덕이본(德異本) · 도원서대승본(道元書大乘本) · 흥성사본(興盛寺本)과 언해본이 있는데, 고려시대 다라니 3종과 『육조대사법보단경』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판본으로서 희귀성과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

참고문헌

『내고장전통가꾸기』(구미시, 1982)
국가유산청 홈페이지(http://www.khs.go.kr/)
집필자
김용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