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선 ()

목차
불교
개념
선 수행방법 중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을 가리키는 불교수행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선 수행방법 중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을 가리키는 불교수행법.
내용

우리 나라 불교 역사 속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선수행법이다. 중국의 선종(禪宗)은 달마(達磨)로부터 시작되어 혜능(慧能)의 남종(南宗)과 신수(神秀)의 북종(北宗)으로 갈라진 뒤, 남종의 남돈선(南頓禪)이 크게 성하였다.

그 이유는 중국인의 사유와 의식구조의 특징이 논리적 정합성(正合性)을 중요시하기보다는 직관적 사유에 익숙했기 때문이다. 화두란 깨달음의 세계를 총체적으로 드러내 보인 본래의 모습이다. 그 수행에 있어 화두를 간(看:그 화두가 뜻하는 바로 추구함.)하는 간화선은 남돈선에서 파생한 것이다.

그러한 간화선은 임제종(臨濟宗)에서 주창했으며, 특히 대혜(大慧)에 이르러 크게 일어났다. 그는 묵조선(默照禪:화두를 갖지 않은 채 모든 생각을 끊고 행하는 참선법)과 이전의 선행(禪行)에 대한 비판 위에서 간화선을 주창하였다.

대혜는 그러한 간화선을 조주(趙州)의 ‘무(無)’ 자 화두를 통해 가르쳤고, 고려의 지눌(知訥)이 대혜의 간화선을 받아들였다.

지눌의 사상은 선(禪)과 교(敎)가 복합된 다양성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그는 ≪간화결의론 看話決疑論≫을 통하여 간화선사상을 천명하였다. ≪간화결의론≫에서 선과 교의 대비를 통해 간화선의 우수함을 말하고 있으며, 동시에 우리 나라 선의 사상적 맥락이 되고 있는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원류를 제시하였다.

특히, 간화선을 행할 때는 활구(活句)를 참구하여 보리(菩提)를 속히 증득하는 것이 최상의 목표이며, 지눌의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지눌은 활구 화두로서, 특히 ‘구자무불성화(狗子無佛性話:개에게는 불성이 없다는 화두)’를 중요시하였고, 이 무자 화두는 불덩어리 같아 불법의 알음알이와 나쁜 지식을 파하는 연장이라고 하였다.

오직 활구를 참구할 때만 깨달음은 보장되어 있다고 본 것이며, 말 가운데 말이 없으면 활구이고, 말 가운데 말이 있으면 사구(死句)라고 규정지었다. 즉, 지눌은 ‘무’자를 들어 공부하되 간절한 의정(疑情:의심)을 끌고 나갈 뿐, 어떤 정식(情識:알음알이)에 빠져서도 안 된다고 보았다.

그래서 “공부하는 사람은 모름지기 활구를 참구할 것이며 사구를 참구하지 말라. 활구에서 깨달으면 영겁토록 잊지 않고 사구에 빠지면 자신조차 구하지 못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간화선을 들어 공부하는 길에는 참의문(參意門)과 참구문(參句門)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참다운 공부를 하는 사람은 마땅히 참구문에 의지해야 할 것이나 근기가 하열한 관행자(觀行者)에게는 참의를 거쳐 참구에 들어가라고 가르쳤다. 참의는 화두를 참구함에 생각으로 헤아리는 것이며, 참구는 생각을 초월하여 철저히 사무침을 말한다.

한 생각이라도 전제(全提:조사의 으뜸가는 뜻이라고 주장함.)니 파병(破病:잘못된 견해를 깨뜨림.)이니를 헤아리면 곧 의식 아래 헤아리는 병에 떨어지게 되며, 그것은 활구를 참선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없게 된다. 지눌의 간화선은 그의 제자 혜심(慧諶)에 의해 계승, 발전되어 오늘에 이어지고 있다.

혜심은 <구자무불성화간병론 狗子無佛性話揀病論>을 지어 간화선을 더욱 깊이 있게 펴나갔다. 지눌이 삼문(三門)을 열어 선·교를 융섭하려 한 데 대해 혜심은 오로지 간화선법에 주력하였다. 따라서 간화선은 혜심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혜심은 간화선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십종병(十種病)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여 공부하는 사람을 가르치고 있으며, 조선 초기의 지엄(智儼)은 간화선을 확립시켰다.

그 뒤 휴정(休靜)은 ≪선가귀감≫에서 간화선을 경절문사상(徑截門思想)과 일치시켰으며, 그러한 맥은 근대에까지 그대로 이어져 경허(鏡虛)와 만공(滿空), 그리고 현재의 선원(禪院)에서도 그 전통을 잇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선 수행자들은 간화선을 삶과 지혜의 으뜸가는 목표로 삼고 있으며, 간화선을 통한 활구참선이야말로 최상의 근기(根機:깨달을 수 있는 능력)만이 들어갈 수 있는 위 없는 대도(大道)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간화결의론(知訥)』
『선가구감(休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