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목화 ()

목차
현대문학
작품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장편소설.
목차
정의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장편소설.
내용

1907년 6월 5일부터 10월 4일까지 『제국신문』에 연재되었다. 1900년대 초의 개화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이야기는 충청북도 황간에 사는 권진사가 속리산 구경을 갔다가 갑자기 불한당에게 납치되어 감금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거기에는 이미 조치원에서 납치당한 이십대의 과부 청주집이 있었다. 두 사람은 탈출의 방책을 꾀하나, 괴산집이 이를 엿듣고 부두목 오도령에게 밀고한다.

괴산집은 본래 그들처럼 납치된 여인이었으나, 오도령의 정부가 되어 그 도당들과 한통속이 되어 있었다. 괴산집은 권진사를 처단하는 데 가담하게 되는데, 권진사는 살해현장에서 겨우 살아나 청주집의 도움으로 그곳을 탈출한다.

한편, 청주집의 아버지 박부장은 딸을 찾으려다 오히려 불한당에게 붙잡혀 결국 부녀는 불한당 소굴에서 상봉하게 되고, 그 속에서 갖은 곤욕을 당하다가 요행히 탈출한다.

서울에 온 권진사는 불한당 소굴을 소탕하고 은인인 청주집을 구출하려고 벼르던 중 불치의 병을 얻게 되나, 미국에서 현대의학을 공부하고 돌아온 조박사의 기독교적인 박애정신과 인술로 말미암아 완쾌하게 된다.

그 뒤 권진사는 보은으로 내려가 불한당의 거점을 습격, 오도령과 괴산집 등을 체포하나 관대한 처분을 내린다. 이에 감동한 오도령과 괴산집은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개과천선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새로운 시대의식은 재가의 허용, 외국유학에 의한 신교육의 효용성, 기독교의 박애사상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참고문헌

『신소설연구』(전광용, 새문사, 1986)
집필자
전광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