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야 ()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전경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전경
고대사
지명
가야연맹체(加耶聯盟體)의 한 나라로서 후기 가야연맹체의 맹주국.
정의
가야연맹체(加耶聯盟體)의 한 나라로서 후기 가야연맹체의 맹주국.
형성 및 변천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금관가야(金官加耶)를 대가야(大加耶)라고 하였다. 이는 가야연맹 전기에는 금관가야가 맹주국이었기 때문이며, 금관가야를 본가야(本加耶)라고 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이다.

그런데『삼국사기(三國史記)』지리지에는, 고령군은 본디 대가야국으로 존속 기간이 시조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부터 도설지왕(道說智王)까지 16세(世) 520년인데, 신라진흥왕(眞興王)이 쳐서 멸망시키고 그 땅을 대가야군(大加耶郡)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아마 금관가야의 세력이 약해진 뒤, 또는 금관가야가 멸망한 뒤 고령을 중심으로 한 가야국이 대신 맹주국이 되어 대가야라고 불렸기 때문인 듯하다.

『삼국사기』신라본기에는 562년(진흥왕 23) 가야가 배반했기 때문에 이사부(異斯夫)에게 명해 사다함(斯多含)과 함께 쳐서 멸망시켰다고 했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가야는 고령의 대가야임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이 때 금관가야는 이미 멸망하고 없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에는 이 밖에도 가야에 대한 기사가 여러 곳에 등장하는데, 그것이 어느 가야를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또 대가야도 위와 같이 금관가야를 가리키는 경우와 고령가야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어 혼란이 있고, 맹주국을 뜻하는 ‘임나(任那)’라는 용어도 금관가야를 말하는 것인지 고령가야를 말하는 것인지 혼란이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도 금관가야와 고령가야를 모두 ‘가라(加羅)’라고 불렀는데, 때로는 금관가야를 ‘남가라(南加羅)’라고 하여 고령가야와 구별하고 있다.『삼국사기』신라본기 진흥왕 23년조의 기사에 해당되는『일본서기』긴메이(欽明紀) 23년(562)조에 “신라가 임나관가(任那官家)를 쳐서 멸망시켰다”라 하고, 그 주(注)에 가라 10국의 이름을 열거했는데 그 중에 가라국(加羅國)이 있다.

이 가라국은 고령가야를 가리킨 것이다. 그러나『일본서기』에서 ‘임나’라는 용어는 여러 가야를 통틀어 부르는 데 썼으므로 우리 나라의 경우와는 다르다. 우리 나라에서는 특정한 맹주국, 즉 대가야를 임나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헌에 따라 가야·가라 또는 대가야라는 용어를 달리 사용해『가락국기』에 나오는 가야의 멸망 연대에 대해서도 혼란이 있었다.

즉, 구형왕(仇衡王)이 신라에 항복한 해를 보정 2년(562)이라 하고, 그 아래에 「개황록(開皇錄)」을 들어 양(梁)나라의 중대통(中大通) 4년(532)에 신라에 항복했다는 기사를 실었다. 전자는 고령가야가 멸망한 연대이고, 후자는 금관가야가 항복한 해이므로 이런 혼란이 있었던 것이다.

의의와 평가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池山洞)에 굉장히 큰 가야시대의 무덤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 발굴된 여러 무덤에서 놀라운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무덤으로 보아 고령가야가 가야의 맹주국, 즉 대가야였던 것이 입증된다.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유물 문화는 그 지역 일대에 일원적으로 확산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합천 옥전·번계제고분군, 산청 중촌리고분군, 함양 산백리·백천리 고분군, 남원 월산리 고분군, 장수 삼고리 고분군 등에서 출토된 5세기 후반 이후의 유물들의 유사성은 그러한 상황을 반영한다. 6세기 전반에는 고령계 유물 문화의 전파가 더욱 심화되어 진주 수정봉·옥봉고분군, 고성 율대리고분군, 함안 도항리고분군에까지 고령계 토기가 확산되었다. 그러면서도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유물은 다른 지역들에 비해 질과 양의 측면에서 우월성을 유지하고 있어 해당시기에 고령을 중심으로 한 연맹체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왜와의 교역 역시 고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5세기 후반의 일본열도 각 지역의 유력한 수장묘(首長墓)들에 대가야 계통의 위세품(威勢品)으로 보이는 마구(馬具), 장신구들이 주류를 나타내고 있고, 고령 양식의 토기들도 일본 큐슈 및 세토나이해 연변 각지에 널리 분포되었다. 또한 왜계(倭系) 물품이 고령·합천 등 가야 북부 지역에 들어오고 있어 왜와의 무역과 교류의 중심 역시 김해서 고령으로 옮겨진 정치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일본서기(日本書紀)』
「가야지역 고분자료와 묘제의 지역성 고찰」(김세기, 『영남학』13, 2008)
『고분 자료로 본 대가야 연구』(김세기, 학연문화사, 2003)
「후기 가야연맹체의 성립과 발전」(김태식,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혜안, 2001)
『가야연맹사』(김태식, 일조각, 1994)
「가야고분벽화에 관한 일고찰」(전호태, 『한국고대사논총』4, 1992)
「대가야묘제의 편년연구: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중심으로」(김종철, 『가야문화』1, 1988)
「대가야고분의 편년: 토기를 중심으로」(우지남, 『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1 고고학편, 1987)
「5세기 후반 대가야의 발전에 대한 연구」(김태식, 『한국사론』12, 1985)
『대가야고분발굴조사보고서 44·45호 고분』(고령군, 1979)
『任那と日本』(金廷鶴, 小學館, 1977)
『任那興亡史』(末松保和, 吉川弘文館, 195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