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규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
이칭
장문(長文)
비수재(賁需齋), 존재(存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7년(숙종 23)
사망 연도
1731년(영조 7)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주요 저서
비수재집
주요 관직
영남안무사 종사관|장릉참봉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내용 요약

강규환은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이다. 스승 한원진을 통해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노론-호론계의 학문을 체득하였고, 보수적 경세론의 입장에서 소극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장문(長文), 호는 존재(存齋) · 비수재(賁需齋) 등이다. 세종대 강희맹(姜希孟)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낸 강석규(姜錫圭), 조부는 강제부(姜濟溥)이다. 아버지 강주천(姜柱天),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유기(韓有箕)의 딸이다. 경주이씨(慶州李氏) 이윤(李潤)의 딸과 혼인하였다. 한원진(韓元震) · 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주요 활동

강규환은 1715년(숙종 41) 19세의 나이로 둘째 외삼촌 한원진에게 『중용』, 『대학』, 『태극도설』 등을 배웠다. 1716년에는 이재(李縡)와 1720년에는 권상하(權尙夏)에게 나아가 이기설(理氣說)을 배우며 학문을 깊이 익혔다.

1723년(경종 3) 증광 생원시에 입격하였고, 1724년에는 「의상시무봉사(擬上時務封事)」를 올렸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영남안무사(嶺南按撫使) 겸 안동부사로 임명된 박사수(朴師洙)의 추천을 받아 종사관(從事官)으로 차출되어 반란군 진압에 참여하였다. 이때 병학(兵學)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진법(陣法) 훈련 및 진격과 방어 계책을 마련하는 데 일조하였다. 1729년(영조 5) 장릉참봉(章陵參奉)에 제수되었고, 1731년(영조 7)에 종사관 시절 얻은 병이 악화되어 35세의 나이로 죽었다.

학문과 저술

강규환은 스승 한원진과 『 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노론-호론계의 학문을 체득하였다. 강규환은 주자도통주의(朱子道通主義)를 기반으로 이황(李滉)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단을 비판하는 등 학맥의 정통성 확보에 주력하였다. 또 보수적 경세론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지출 및 관직을 줄여 남은 경비를 군포(軍布)에 충당하는 방법으로 양역(良役)의 폐단을 해결할 것 등의 소극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시문집으로 12권 6책의 『비수재집(賁需齋集)』이 전한다.

참고문헌

원전

『계묘숙종대왕부태묘증광사마방목(癸卯肅宗大王祔太廟增廣司馬榜目)』
『비수재집(賁需齋集)』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풍서집(豊墅集)』

논문

구만옥, 「賁需齋 姜奎煥(1697~1731)의 學問觀과 經世論: 朝鮮後期 朱子道統主義者의 학문과 사상」(『경희사학』 26, 경희사학회, 200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