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평안도관찰사, 예문관제학, 대사간, 대사헌 등을 지낸 문신.
이칭
경로(景魯)
내헌(耐軒), 내재(耐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6년(숙종 12)
사망 연도
1739년(영조 15)
본관
반남(潘南)
주요 관직
대사헌|대사간
내용 요약

박사수는 조선 후기 평안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이인좌의 난에 관한 기록물인 『감란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소론의 핵심 인물들인 조현명, 서명응 등과 교유하고, 송인명과는 인척이다. 노론이면서 낙론학파인 박필주의 족질(族姪)이다.

정의
조선 후기, 평안도관찰사, 예문관제학, 대사간, 대사헌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박사수(朴師洙)의 본관은 반남(潘南), 호는 내헌(耐軒) · 내재(耐齋), 자는 경로(景魯)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세기(朴世基), 할아버지는 박태정(朴泰定), 할머니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딸 경녕군주(慶寧郡主)이다. 아버지는 박필영(朴弼英), 어머니 죽산안씨는 안진(安縝)의 딸이다. 양아버지는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백부 박필명(朴弼明), 양어머니 한산이씨는 이흥직(李興稷)의 딸이다. 첫째 부인 여산송씨(礪山宋氏)는 송정명(宋正明)의 딸이고, 둘째 부인 인동장씨(仁同張氏)는 장태형(張泰亨)의 딸이다. 노론이면서 낙론학파인 박필주(朴弼周)의 족질(族姪)이다. 또 영조 정권 초기에 탕평책(蕩平策)을 주도한 송인명(宋寅明)이 처의 재당숙이다.

주요 활동

1714년(숙종 40) 주1에 생원으로 입격하여 참봉이 되었다. 1723년(경종 3) 주3 주4(增廣文科)에 장원 급제하여 전적이 되었다. 1725년(영조 1) 안동부사로 있으면서 청렴하고 고을을 잘 다스린 공으로 상을 받았다. 1728년 대사성, 영남안무사(嶺南安撫使), 대사간, 대사헌, 판결사(判決事) 등을 역임하였다. 1729년 병조참판, 강화유수(江華留守)가 되었다. 1729년에 이인좌의 난에 대한 기록물인 『감란록(勘亂錄)』주2한 공로로 송인명과 함께 반숙마(半熟馬) 1필씩을 하사받았다.

1732년 대사헌, 형조참판, 황해도관찰사, 1734년 평안도관찰사, 대사헌, 1737년 호조판서, 1738년 예문관제학, 공조판서, 홍문관제학이 되었다. 1739년 우참찬(右參贊)으로 지내던 중 5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박사수는 그림에 뛰어난 재주를 보였으며, 특히 죽화(竹畫)에 능하였다. 소론의 핵심 인물들인 조현명, 서명응 등과 교유하였다. 그가 사망하자 여러 사람이 글을 지었는데, 박필주와 조현명이 제문(祭文)을 짓고, 서명응(徐命膺)이 주5을 지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종실록(景宗實錄)』
김종수, 『몽오집(夢梧集)』
박필주, 『여호집(黎湖集)』
서명응, 『보만재집(保晚齋集)』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조현명, 『귀록집(歸鹿集)』

단행본

최성환, 『영·정조대 탕평정치와 군신의리』(신구문화사, 2020)
김성윤, 『조선 후기 탕평 정치 연구』(지식산업사, 1997)

논문

김학수, 「18세기 한 향반 출신 공신의 정치 · 사회적 존재 양상: 영조대 분무공신 박동형(1695~1739)을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 77, 조선시대사학회, 2016)
고수연, 「조선 영조대 무신난의 실패 원인」(『한국사연구』 170, 한국사연구회, 2015)
허태용, 「1728년 무신난의 진압과 『감란록』의 편찬」(『한국사연구』 166, 한국사연구회, 2014)
이은순, 「18세기 노론 일당전제의 성립과정 : 신임사화와 천의소감의 논리를 중심으로」(『역사학보』 110, 역사학회, 1986)
주석
주1

생원과 진사를 뽑던 과거. 초시와 복시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2

사실을 수집하여 기록함. 또는 그렇게 하여 엮은 책.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태종 1년(1401)에 처음 실시하였으며 생진과의 초시와 복시, 문과의 초시ㆍ복시ㆍ전시 5단계로 나누었다.    우리말샘

주4

문관(文官)을 뽑던 과거. 제술(製述), 경서 강론(經書講論) 및 대책(對策) 따위를 시험 보았는데, 초시(初試)·복시(覆試)·전시(殿試)의 세 단계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5

재상이나 유교에 밝은 사람들에게 시호를 내리도록 임금에게 건의할 때에, 그가 살았을 때의 일들을 적어 올리던 글.    우리말샘

집필자
박수정(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