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옥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병조판서,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도승지, 병조판서, 의금부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집(聖集)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0년(숙종 46)
사망 연도
1792년(정조 16)
본관
능성(綾城)
주요 관직
병조판서|호조판서|판중추부사
내용 요약

구윤옥은 영조~정조대에 병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중종의 부마(駙馬) 구사안과 인조의 외할아버지 구사맹의 후손이자, 인조의 외종형인 구인후의 6대손이다. 이 때문에 정조대에 구인후의 봉사손(奉祀孫)으로 능은군을 습봉(襲封)하였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병조판서, 호조판서, 판중추부사 도승지, 병조판서, 의금부판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자는 성집(聖集)이다. 구사맹(具思孟)의 8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구종주(具宗柱), 할아버지는 구혁(具爀)이다. 한성부판윤을 지낸 아버지 구택규(具宅奎)정제두(鄭齊斗)의 문인이며, 어머니 남양홍씨는 사옹원 첨정 홍우채(洪禹采)의 딸이다. 형 구윤명(具允明)이 백부(伯父) 구몽규(具夢奎)에게 입양되었다. 부인 안동김씨(安東金氏)는 김우갑(金禹甲)의 딸이다. 장남 구익(具㢞)은 판서, 차남 구응(具膺)은 목사(牧使)를 역임하였다.

주요 활동

1753년(영조 29) 43세의 나이로 주1 문과의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승문원 정자(正字), 병조정랑(兵曹正郎), 사헌부 지평(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1759년(영조 35) 승지로 발탁되고, 5개월도 안 되어 도승지가 되어 경(卿)의 반열에 올랐다. 1763년 예조판서가 되고, 1768년(영조 44) 동지부사가 되어 청에 다녀왔다.

정조대에도 예조판서⋅호조판서⋅병조판서 등을 지냈다. 70세 때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1790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가 되었다. 또한 구사안(具思顔)은 중종의 부마이고, 그의 아우 구사맹은 인조의 외할아버지로서 이들 형제는 인조의 외종형이자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인 구인후(具仁垕)의 친 · 양조부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정조대에 구윤옥은 구인후의 주2으로 능은군(綾恩君) 구윤명을 주3하고, 조카 구상(具庠)은 정조로부터 ‘누대의 주4’이라는 말을 들었다.

학문과 저술

1759년에 『어제속자성편(御製續自省編)』의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이 책의 권말에 영조가 짓고 구윤옥이 서사한 발문과 영조의 소지(小識)가 있다. 홍양호(洪良浩)『이계집(耳谿集)』에 구윤옥의 주5가 전한다. 형 구윤명은 『전율통보(典律通補)』 · 『육상궁소령원식례(毓祥宮昭寧園式例)』 · 『증수무원록대전(增修無寃錄大全)』 등을 찬술하고, 아버지 구택규는 『증수무원록』주6하는 등 집안사람들이 법전과 예전 편찬에 깊이 관여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능성구씨세보(綾城具氏世譜)』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이계집(耳溪集)』(홍양호)
『일성록(日省錄)』
『정조실록(正祖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단행본

최성환, 『영 정조대 탕평정치와 군신의리』(신구문화사, 2020)
김성윤, 『조선 후기 탕평 정치 연구』(지식산업사, 1997)

논문

배우성, 「종로 시전 뒷길의 능성구씨들」(『서울학연구』 67, 2017)
정만조, 「정조 치세의 정국동향과 정책추진」(『정조대왕자료집』 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김정자, 「정조대 전반기의 정국동향과 정치세력의 변화(Ⅱ)-『이재난고』를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 78, 조선시대사학회, 2016)
김준혁, 「정조의 훈련대장 구선복 제거와 장용대장 임명」(『역사와 실학』 44, 2011)

인터넷 자료

디지털장서각(https://jsg.aks.ac.kr): 이문내구윤옥가도형(里門內具允鈺家圖形)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임금이 성균관의 문묘에 참배한 뒤 보이던 문과.    우리말샘

주2

조상의 제사를 맡아 받드는 자손.    우리말샘

주3

제후(諸侯)가 윗대의 영지(領地)를 물려받음.    우리말샘

주4

나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임금의 친척.    우리말샘

주5

무덤 앞에 세우는 푯돌. 죽은 사람의 이름, 생년월일, 행적, 묘주 따위를 새긴다.    우리말샘

주6

한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우리말샘

집필자
박수정(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