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때, 판의금부사, 홍청도병마절도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중재(仲載)
유포(柳浦)
시호
충무(忠武)
군호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능천군(綾川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8년(선조 11)
사망 연도
1658년(효종 9)
본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우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 판의금부사, 홍청도병마절도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중재(仲載), 호는 유포(柳浦). 증조는 능성군(綾城君) 구순(具淳), 할아버지는 좌찬성 구사맹(具思孟), 아버지는 대사성 구성(具宬), 어머니는 별좌 정억령(鄭億齡)의 주1 뒤에 구홍(具宖)에게 입양되었다. 인조의 외종형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3년(선조 36) 주2에 급제해, 1606년 선전관이 되고, 고원군수 · 갑산부사 등을 지냈다. 광해군과 대북 세력의 정치에 반감을 지니고 있던 중 1620년(광해군 12) 이서(李曙) · 신경진(申景禛)의 반정 모의에 참여했다.

1621년 진도군수가 되었고, 1623년(인조 1)의 반정에는 미처 한양에 도달하지 못해 참여하지 못했으나, 처음부터 계획을 세운 공로로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능천군(綾川君)에 봉해졌다.

반정 뒤 통제사 · 한성부윤을 거쳐, 1627년 정묘호란으로 인조가 강화도로 피난했을 때는 주사대장(舟師大將)이 되었다. 전라병사 · 포도대장을 거쳐 충청병사 · 수원방어사 등을 역임했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군사 3,000명을 거느리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국왕을 호위했으며, 그 공으로 어영대장이 되었다.

전후로 도총부도총관 · 비변사제조 · 판의금부사 등을 겸임했으며, 1644년에는 심기원(沈器遠)의 모역 사건을 적발, 처리한 공으로 영국공신(寧國功臣) 1등에 책록되고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인조 말년에는 수 차례의 병조판서를 비롯해, 형조 · 공조의 판서와 수원부사 · 훈련대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1652년(효종 3) 판의금부사 · 홍청도병마절도사(洪淸道兵馬節度使)가 되고, 이듬해 우의정이 되었다.

1654년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으로서 처형당한 강씨(姜氏)의 신원을 요구하다 죄를 입은 김홍욱(金弘郁)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했으나 곧 복관되고 좌의정에 올랐다.

공신인 동시에 인조의 외척으로서, 당시 공신들간의 대립이나 공신들과 일반 사류들 사이의 대립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취함으로써 별다른 기복 없이 정치적 위치를 지킬 수 있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송자대전(宋子大全)』
『조야첨재(朝野僉載)』
『계묘춘별시방(癸卯春別試榜)』(해군사관학교박물관[해사02 710609-000])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인물고』 권60, 구인후 비명.

주2

무과 급제 : 『계묘춘별시방(癸卯春別試榜)』(해군사관학교박물관[해사02 710609-000])

집필자
이태진(서울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