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필사본.
그의 제자인 강규환(姜奎煥)이 경학에 대하여 배우기를 청하므로, 일찍이 스승이었던 권상하(權尙夏)로부터 들었던 내용을 위주로 하고, 선유(先儒)들의 제설(諸說)을 참작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혀 편술한 것이다.
본래의 ≪경의기문록≫은 권1의 <대학>과 권2의 <중용>, 권3의 <태극도>, 권4의 <역학계몽(易學啓蒙)>으로서 1715년 (숙종 41)에 완성했으나, 그 뒤 역학과 이기성정(理氣性情)의 각종 도설(圖說) 등을 부록으로 첨가해 모두 6권으로 편성하였다.
1717년 스승인 권상하의 감정을 받고, 1722년에 저자 자신의 서문과 발문을 붙여서 ‘기문록’이라는 제명으로 완성시켰으며, 1741년(영조 17) 초간본이 간행되었다.
권수에 저자의 서문이 있으며, 권1 <대학>에서는 주자장구(朱子章句)를 바탕으로 제설을 종합하고, 자신의 의견을 첨부해 대학도(大學圖)를 통해 해설하는 한편, 조선 초 권근(權近)의 대학도를 비판하였다. 또한 <이왕설변(二王說辨)>에서는 양명학설이 주자학설과 다른 점을 상세하게 변론하였다.
권2 <중용>에서는 주자장구를 바탕으로 ≪중용≫의 각 장구를 도식화하고 분절해 설명했으며, <요왕설변(饒王說辨)>에서는 이설(異說)로서의 요씨·왕씨의 설과 권근의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권3의 <태극도>에서는 주자의 주(註)에 근거해서 태극도를 변설(辨說)했으며, 특히 이기론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서 유교·불교·도교의 근본적인 특징과 차이점 및 도·불(道佛)의 병폐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권4의 <역학계몽>에서는 ≪주역≫에 대해 제설을 주를 참작하여 상세하게 논하였다.
권5에는 <역학답문도(易學答問圖)>·<역학답문>·<문왕역석의(文王易釋義)>가 들어 있다. <역학답문도>는 하도(河圖) 및 복희씨(伏羲氏)·문왕(文王)·선천(先天)·후천(後天) 등의 역에 관한 괘상도(卦象圖) 12개를 그려놓은 것이다.
<역학답문>은 한원진이 이미 26세에 역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한 것으로서, 1715년 ≪기문록≫의 뒤에 덧붙였던 것이다. <문왕역석의>는 문왕팔괘(文王八卦)의 생성 및 운행(運行)의 도와 64괘의 운행도와 36괘도 등의 역에 관한 그림을 그려서 해설하였다.
권6에는 <이기성정도설(理氣性情圖說)>·<맹자양기장설(孟子養氣章說)>·<통서설(通書說)>·<주자태극설해(朱子太極說解)>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이기성정도설>은 이기의 원류 및 일원(一原)·분수(分殊) 등에 대해 그림 6개를 그려서 설명하고, 그 다음에는 심성정(心性情)에 대한 그림 11개를 그려서 각각의 개념들을 명석하게 해석하였다.
<맹자양기장설>은 맹자의 호연지기를 다루고, <맹자생지위성장설(孟子生之謂性章說)>은 본연지성(本然之性)에 대한 해설로서 인물성동이론에서 한원진의 기본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 <통서설>은 주돈이(周敦頤)의 ≪통서(通書)≫와 <태극도설>에 대한 논변이다. 규장각도서와 장서각도서 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