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순절인 ()

목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병자호란으로 강화가 함락되자 순절한 관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병자호란으로 강화가 함락되자 순절한 관리.
내용

1636년(인조 14) 12월 청나라 태종이 10만군을 이끌고 침입, 10여일 만에 서울 근교에 이르자 봉림대군·인평대군 두 왕자와 비빈·종실·조신들을 강화로 피난시켰다.

이듬 해 정월 청나라 구왕(九王: 睿親王)의 군대가 쳐들어와 홍이포(紅夷砲)로 공격하자 유수 장신(張紳), 검찰사 김경징(金慶徵) 등이 모두 달아났다. 성이 함락되자 자결하거나 전사 또는 피살자가 많았는데 이들을 강도순절인이라고 한다.

전 우의정 김상용(金尙容), 별좌 권순장(權順長), 생원 김익겸(金益謙) 등은 화약을 안고 불에 뛰어들어 폭사하였고, 전 공조판서 이상길(李尙吉), 돈녕도정 심현(沈誢), 세자빈을 모시고 있던 윤전(尹烇), 봉상시정 이시직(李時稷), 사복시주부 송시영(宋時永), 익위사장령 정백형(鄭百亨), 민성(閔垶) 등은 자결하였다.

또, 중군 황선신(黃善身), 부천총 강흥업(姜興業)·구원일(具元一), 첨사 김득남(金得男), 파총 이삼(李參)·안몽상(安夢祥), 기패관 이광원(李光遠), 무학 서언길(徐彦吉), 교사 고의겸(高義謙), 정병 차명세(車命世), 수군 송영춘(宋榮春) 등은 전사하였고, 급제 이가상(李嘉相)·주원규(朱元揆)·이중규(李重揆), 첨정 이사규(李士珪) 등은 피살되었다.

이 밖에도 부녀자들로서 윤선거(尹宣擧)의 처 이씨(李氏), 이성구(李聖求)의 처 권씨(權氏), 권순창(權順昌)의 처 장씨(張氏), 이돈오(李惇吾)의 처 김씨(金氏), 이정구(李廷龜)의 처 권씨 등은 자결함으로써 절개를 지켰다.

이들은 정건(鄭楗) 등이 1642년에 세워 16년 뒤에 사액된 강화 충렬사(忠烈祠)에 제향되었다. 또, 1701년(숙종 27)에는 김상용의 증손 김창협(金昌協)이 이들의 사적을 모아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을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난리잡기(亂離雜記)』
『강화지(江華誌)』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강도충렬록(江都忠烈錄)』
『강도사절(江都死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