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초당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초당동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덧널무덤 등이 분포하는 유적.
이칭
이칭
강릉 초당동 고분군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4~6세기
관련 국가
신라
재질
59,290㎡
소재지
강원도 강릉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강릉 초당동 유적(江陵 草堂洞 遺蹟)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07년 12월 03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초당동 84- 2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릉 초당동 유적(江陵 草堂洞 遺蹟)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초당동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덧널무덤 등이 분포하는 유적이다. 초당동 일대의 사구 지대에는 선사시대 이래 마을이 확인되는데, 삼국시대 집터와 총 300여 기 이상의 신라 고분군이 집중 확인되고 있다. 시신을 매장하는 구조는 나무널무덤과 덧널무덤도 확인되지만, 대부분 돌덧널무덤이 축조되었다. 그리고 이 고분들에서는 신라 토기와 함께 금동관, 관장식, 장식큰칼, 귀걸이 등의 위세품이 출토되어 신라와의 관계를 잘 보여 준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초당동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덧널무덤 등이 분포하는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강릉 초당동 유적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사구(砂丘) 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군과 집터 유적이다. 1969년 돌덧널무덤 1기가 조사되면서 그 실체가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이후 50여 차례 이상의 조사를 통해 현재 300여 기 이상의 고분을 확인하였다.

형태와 특징

시신을 매장하는 구조는 나무널무덤을 비롯해 나무덧널무덤, 독무덤 등도 확인되나, 대부분 돌덧널무덤이 확인된다. 돌덧널무덤은 봉분을 갖추고 있는 대형의 무덤이 일부 확인되나, 중소형의 무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고분들에서는 신라 토기를 비롯하여 다량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이 가운데 초당동A-1호묘에서는 금동용문투조대금구(金銅龍文透彫帶金具), 초당동B-16호묘에서는 출자형 금동관(出字形 金銅冠)과 금제 귀걸이, 금동제 장식큰칼, 초당동C-1호묘에서는 은제 새날개모양머리장식, 초당동ⅢA-1호묘에서는 나비모양관모장식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신라에서 제작된 것을 초당동 고분군에 매장된 인물들이 받은 것으로, 강릉 일대를 다스리던 인물들이 초당동 고분군에 매장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초당동 고분군이 언제 축조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으나 최근 확인되는 나무덧널무덤의 양상을 통해 볼 때, 4세기 후반에 축조되기 시작하여 5세기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집중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강릉 초당동 유적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 지역의 신라 고분 문화 유입의 양상을 비롯하여 신라의 강원 영동 지방 진출, 지방 지배 방식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유적이라 할 수 있다. 2007년 12월 3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릉 초당동 고분(사적 제490호) 발굴조사 약식보고서』(강원고고문화연구원, 2018)
『江陵 草堂洞 古墳群』(강원고고문화연구원, 2010)
『江陵 草堂洞 遺蹟Ⅴ』(강원문화재연구소, 2009)
『江陵 草堂洞 遺蹟Ⅳ』(예맥문화재연구원, 2008)
『江陵 草堂洞 遺蹟Ⅳ』(강원문화재연구소, 2008)
『江陵 草堂洞 遺蹟Ⅲ』(예맥문화재연구원, 2008)
『江陵 草堂洞 遺蹟Ⅲ』(강원문화재연구소, 2007)
『江陵 草堂洞 遺蹟Ⅱ』(강원문화재연구소, 2006)
『江陵 草堂洞 遺蹟Ⅰ』(강원문화재연구소, 2005)

논문

심현용,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신라의 강릉지역 지배방식」(『문화재』 42-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이창현, 「강릉지역 신라고분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