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자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신성태수
내용 요약

고노자는 삼국시대 고구려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이다. 293년(봉상왕 2) 고대 북아시아의 유목 민족인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가 고구려를 침범하자 신성재(新城宰) 북부(北部) 소형(小兄)의 자격으로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이를 방어하였다. 이후 296년 모용외의 재침입 시 국상 창조리의 추천으로 신성태수가 되었다.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
가계 및 인적 사항

고노자(高奴子)는 ‘고(高)’가 성(姓)인 것으로 보이지만, 고구려 왕실과 같은 계통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고자 묘지명(高慈墓誌銘)」에는 고자의 20대 선조인 고밀이 모용외와의 전투에서 전공을 세워 고씨 성을 하사받았다는 사례를 통해, 만약 고노자가 왕실 출신이 아니라면 공훈에 의해 고씨 성을 하사받았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주요 활동

293년( 봉상왕 2)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가 고구려를 침범하자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신성(新城)에서 이를 방어하였다. 당시 고노자는 신성재(新城宰) 북부(北部) 소형(小兄)의 위치에 있었는데, 이때의 전공으로 소형(小兄)에서 대형(大兄)으로 관등이 승진되었고 식읍(食邑)으로 곡림(鵠林)을 받았다.

296년(봉상왕 5) 모용외가 다시 침입하여 서천왕릉을 파헤치려 하는 등의 소란이 일자,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는 고노자가 현명하고 용감하다며 추천하였고, 그 결과 서북방 신성태수(新城太守)가 되어 침입에 대비하였다. 고노자는 소형(小兄)으로 신성재(宰)를 지내다가 대형(大兄)으로 승진한 뒤에 다시 신성태수로 승진하였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에서는 당시 최소 2단계 이상의 지방 통치 조직을 갖추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고노자가 태수직을 수행한 신성은 고구려 지역에서 요동 일대로 진출하는 교통로상의 중요한 거점으로, 고국원왕대 이후 전연(前燕), 후연(後燕)과의 전쟁 과정에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현재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푸순시[撫順市] 고이산성(高爾山城)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 2014)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한나래, 2004)

논문

여호규,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 남도(南道)와 북도(北道)를 중심으로」(『한국사연구』 91, 1995)
김영하, 「고구려의 순수제(巡狩制)」(『역사학보』 106,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