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오부 ( )

고대사
제도
고구려 초기, 국가 운영의 주축이 된 5개의 단위 정치체.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고구려 초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구려오부는 고구려 초기, 국가 운영의 주축이 된 5개의 단위 정치체이다. 『삼국지』에는 소노부(消奴部), 절노부(絶奴部), 순노부(順奴部), 관노부(灌奴部), 계루부(桂婁部) 등 5개 ‘부(部)’의 이름이 등장하며, 『삼국사기』에는 비류나부(沸流那部), 연나부(椽那部), 환나부(桓那部), 관나부(貫那部)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구려 초기의 정치 권력은 국가 전체를 통괄하는 왕권과 나부의 자치권이라는 2가지 축을 중심으로 유지되었다.

정의
고구려 초기, 국가 운영의 주축이 된 5개의 단위 정치체.
내용

고구려 초기 국가 운영의 주축이 된 5개의 단위 정치체를 일컫는다. 『삼국지(三國志)』 등 중국 문헌에는 소노부(消奴部), 절노부(絶奴部), 순노부(順奴部), 관노부(灌奴部), 계루부(桂婁部) 등 5개 '부(部)'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비류나부(沸流那部), 연나부(椽那部), 환나부(桓那部), 관나부(貫那部) 등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왕을 배출한 계루부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는다.

계루부를 제외한 4부의 명칭에는 ‘나(那)’ 또는 '노(奴)‘자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나'는 강가 혹은 산간 계곡에 자리잡은 지역의 집단을 나타내는 단어로 내(內), 노(奴), 양(壤) 등과 통한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초기 기록에는 위의 4부 명칭 외에도 ' 조나(藻那)’ · ' 주나(朱那)’ 등 '-나(那)'로 지칭되는 집단들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초기에 중심지인 압록강 중상류와 그 지류인 훈장[渾江] 유역에 '-나'로 지칭되는 여러 집단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집단 사이에서 정복 혹은 느슨한 연맹 등으로 상호 통합해가면서 태조왕 대를 전후하여 고구려 사회가 5부로 형성되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계루부만은 ‘나’자가 이름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계루부는 처음부터 압록강 지역에 자리 잡고 있지 않았던 부여계 유이민 주몽(朱蒙)을 대표로 하는 집단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건국 이후 5부의 유력자들이 핵심 지배층을 형성하면서 국가를 운영하였고, 당시 정치권력은 국가 전체를 통괄하는 계루부 왕권의 영도력과 나부의 자치권이라는 2가지 축을 중심으로 유지되었다. 즉, 고구려 초기의 왕은 정치권력의 정점에 있는 국가 전체의 대표자로서 전쟁이나 외교, 무역 등과 같은 대외 교섭권을 장악하면서 나머지 4부를 통제하였고, 반면 각 부는 계루부 왕권의 통제를 받는 동시에 그와 구별되는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독자적 관원 조직을 바탕으로 일부 자치권을 행사하였다.

한편 각 부의 유력자들인 대가(大加)들은 회의체인 ' 제가 회의(諸加會議)'에서 국정의 주요 사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계루부를 비롯하여 각 '나부(那部)'의 대표들이 참여하는 국중대회(國中大會) 동맹(東盟)에서 각 나부의 대표들은 계루부 왕실의 시조를 고구려 전체의 공동 시조로 받아들이고, 계루부 왕권에 대한 복속을 약속하는 의례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변천사항

3세기를 전후하여 왕권은 나부의 독자성과 자치성을 해체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였다. 이에 각 부의 지배 세력은 자신들의 정치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왕권에 반발하고 저항하였다.

고국천왕 대에 일어난 연나부의 반란이나 고국천왕 사후 왕위 계승에 불만을 품은 발기(發岐)가 반란을 일으키자 비류나부가 동조한 것 등은 이러한 과도기적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사례이다. 그러나 이후 국왕이 국정 운영의 결정권을 더욱 강화하면서 나부의 지배 세력은 각 부에서 가지던 독자적 지배권을 포기하고 수도로 이주하여 왕을 도와 국정을 이끄는 중앙 귀족 관인으로 변모하였다.

한편 각 부 출신 귀족 관인들은 수도에서 같이 모여 살면서 그들의 거주 지역을 부로 칭하였다. 이때 등장한 부의 명칭은 동 · 서 · 남 · 북 · 중부 등 방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제 부는 더 이상 독자적인 정치체의 명칭이 아니라 수도의 행정 구역명이 되었다.

의의 및 평가

'부(部)'는 고구려 초기의 국가 구조와 정치 체제를 이해하는 데에 핵심 요소가 된다. 『삼국지』에는 비류부에서 계루부로의 왕실 교체가 '부'를 매개로 단행된 것으로 서술하였고, 정치체제의 형성에서도 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틀림없다.

하지만 동북아시아 여러 국가와 족속에서 사용된 부의 용례는 대부분 당대에 스스로 사용하였다기보다는 중국 왕조의 입장에서 규정해 놓은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고구려의 경우 '부'와 함께 사료에 등장하는 '본유오족(本有五族)'이라는 표현에서 '족(族)'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등에 유념해야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한원(翰苑)』
『후한서(後漢書)』

단행본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한나래, 2004)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사계절, 2003)

논문

이준성, 「고구려의 형성과 정치체제 변동」(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조영광, 「고구려 초기의 국가 형성」(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김현숙, 「고구려 전기 나부통치체제의 운영과 변화」(『역사교육논집』 20, 한국역사교육학회, 1995)
노태돈, 「삼국시대 ‘부(部)’에 관한 연구」(『한국사론』 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