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고은선생유고
고은선생유고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안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안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772년(영조 48) 후손 병희(炳喜)가 편집, 간행한 것을 방후손(傍後孫) 만곤(晩坤)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의 서문과 권말에 이중구(李中久)·만곤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세계도 1편, 권1·2에 시 10수, 발 2편, 묘지명 1편, 묘갈문 1편, 전(箋) 2편, 권3은 부록으로 시 2편, 습유(拾遺) 1편, 조곡서원창건기(早谷書院創建記) 및 봉안문 각 1편, 충현사제액후소지(忠顯祠題額後小識)·신도비문·행장·실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품격이 고절(高絶)하며 기상이 청일(淸逸)하다. 그 가운데 「제압구정(題狎鷗亭)」과 「문주팔경도영(雯州八景圖詠)」이 대표작이다.

발 가운데 「권매헌선생집발(權梅軒先生集跋)」은 스승 권우(權遇)의 문집을 간행하면서 그 출간경위와 스승의 행적 및 교육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 것이다. 전 중 「용비어천가전」은 「용비어천가」의 초안 125장을 필사하여 올리면서 쓴 것이다.

이밖에 변계량(卞季良)의 문집을 간행할 때 그 소감을 밝힌 「변춘정계량집발(卞春亭季良集跋)」과 병조판서 정연(鄭淵)의 묘지명, 예조판서 이이기(李二錡)의 묘갈문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