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군 ()

대동여지도 중 황해도 곡산 부분
대동여지도 중 황해도 곡산 부분
인문지리
지명
황해도의 동북단에 있는 군.
이칭
이칭
십곡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황해도의 동북단에 있는 군.
개관

동쪽은 함경남도 문천군과 강원도 이천군, 서쪽은 황해도 수안군, 남쪽은 신계군, 북쪽은 평안남도 양덕군·성천군에 각각 접하고 있다.

동경 126°28′∼127°01′, 북위 38°37′∼39°10′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약간 긴 타원형을 이룬다. 면적은 1,854.95㎢로 도내의 군 가운데 가장 넓다. 인구는 8만 4명(1944년 현재)이다. 12개 면 69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곡산면 능동리이다.

자연환경

지세는 높이 1,000m 이상의 높은 산과 계곡이 얽혀 있어 깊은 골짜기와 높은 산이라는 뜻의 ‘곡산’이라는 지명에 걸맞은 고을이다. 동·서·북의 3면이 산맥으로 둘러싸인 고원지대이나, 중남부지역인 남강과 곡산천 유역은 곡산분지를 중심으로 저평야지대를 이룬다.

동북쪽에 백년덕산맥(百年德山脈)이 뻗어 함경도와의 경계에 두무산(杜霧山, 1,186m)·동백년산(東百年山, 1,246m) 등이 있고, 북쪽 평안남도와의 경계에 하람산(霞嵐山, 1,486m)·물금산(勿禁山, 1,110m)·증봉산(甑峰山, 1,179m)·사방산(四方山, 975m) 등의 높은 산이 있다.

동쪽에는 마식령산맥이 남북방향으로 뻗어 입암산(立巖山, 1,110m)·덕업산(德業山, 1,019m) 등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남부에는 멸악산맥이 융기해 생겨난 높은 산도 있으며, 이 산들이 둘러싸고 있는 일대의 고원지대에서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과 예성강이 발원한다.

역사

[고 대]

구석기·신석기시대 유물이 발굴된 적은 없으나, 황해도의 평산과 평안남도 상원에서 구석기 유적이, 황해도의 여러 곳에서 신석기 유물·유적이 발굴되어 이 군에서도 구석기·신석기 유물이 출토될 가능성이 높다.

군내의 선암리 돌널무덤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돌칼·돌화살촉 등이 발굴되어 곡산에 청동기시대문화가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이었으며, 덕돈홀(德頓忽) 또는 곡성(谷城)·고곡군(古谷郡)이라고도 한 것으로 보아, 지명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통일 후 신라가 예성강 이북지역의 개발을 활발히 추진한 결과 748년(경덕왕 7)십곡성현이 되었고, 757년진서현(鎭瑞縣)으로 개칭되어 영풍군에 소속되었으며, 762년 성을 수축했는데 모두 경덕왕 때의 일이다.

825년(헌덕왕 17) 신라의 왕족 범문(梵文)이 이 곳 100여 명의 도둑무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평양에 도읍을 정한 뒤 북한산주(北漢山州)를 공격한 일이 있다.

[고 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지 4년 만인 940년(태조 23)에 곡주(谷州)라 개칭하고, 995년(성종 14) 방어사를 설치하였다. 1018년(현종 9) 방어사 대신 지군사(知郡事)를 두고 신은과 협계를 속현으로 소속시켰다.

1019년 거란이 침입해 곡산과 수안·신은을 노략질함에 따라, 정부가 양식과 농사용 종자를 공급해 주고 예성강 남쪽지역의 주민을 이주시켜 국방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1178년(명종 8) 조위총(趙位寵)의 반란군에게 성이 함락되어 재물을 약탈당하는 수난을 겪었고, 1258년(고종 45) 달포성(達浦城)에서 주민들이 방호별감을 사로잡아 몽고에 투항함으로써 1270년(원종 11)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예속되었다가 1278년(충렬왕 4)고려에 환속되었다.

1356년(공민왕 5) 왕이 유숙(柳淑) 등에게 명해 이 곳과 수안 등지에서 새로운 도읍지를 물색하도록 한 일이 있다. 1391년(공양왕 3)서해도 관할에서 경기우도 관할로 이속되었다.

[조 선]

1393년(태조 2)태조의 둘째 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출생지라고 해 곡산이라 개칭하고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이듬해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경기지역을 조정할 때 서해도로 환속되었다.

태조의 첫째 비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 태종이 즉위한 뒤 1402년(태종 2)곡주로 환원되었다가 1413년 전국 군현의 명칭을 조정할 때 곡산군으로 개칭되었고, 1669년(현종 10)신덕왕후가 복위됨으로써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운중면 용봉동의 신덕왕후 출생지에 1799년(정조 23) 왕의 친필로 ‘聖后私第舊基(성후사제구기)’라고 새긴 비를 세우고, 하람산(霞嵐山, 일명 河南山) 정상에는 태조이성계(李成桂)가 말을 달리던 곳이라 해 왕의 친필로 ‘馳馬舊基(치마구기)’라고 새긴 비를 세워 기념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15세기 중엽의 호구는 816호에 2,828명이었는데, 1828년(순조 28) 3,357호에 2만 9911명으로 증가하였다. 조선 후기에 여러 장시가 형성되었으나, 황해도 지역보다는 교통이 편리한 평안남도 성천·양덕이나 함경남도 문천·원산과의 교역이 더 활발하였다. 1811년 주민들이 탐학을 일삼던 도호부사 박종신(朴宗臣)을 몰아내기 위해 큰 폭동을 일으켰다.

[근 대]

1895년(고종 32) 지방행정제도 개편 때 곡산군으로 되었다. 1919년 3·1운동 때는 곡산읍에서도 천도교인을 중심으로 군민이 만세시위를 하였다.

이 때 황해도 대표로 황해도 동북지역의 만세시위를 주도한 이경섭(李景燮)과, 뒤에 중국으로 망명해 김구(金九)·지청천(池靑天) 등과 함께 독립군 조직을 위해 활약한 이용훈(李容薰)이 대표적 독립운동가이다.

1930년대 이후 당시 동양 최대의 텅스텐광산으로 알려졌던 백년광산(百年鑛山)과 기주광산 등이 개발되어 갑자기 거대한 광산촌이 형성되었다. 1942년의 호구는 1만 4551호에 8만 3048명이었다.

유물·유적

멱미면 마하리 문성동의 검암령(檢巖嶺)에는 문성진(文城鎭)의 유지가 있다. 길이 험하고 진의 방어시설이 완벽해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방어했던 곳으로, 지금도 성문터와 진영터가 남아 있다.

문성진의 정확한 설치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중종 때는 병마만호가 설치되었으며, 1683년(숙종 9) 첨사진으로 승격되었다.

『곡산읍지』에 따르면, 진에는 첨사 통솔하에 장교 8명, 이속 6명, 나졸 8명, 아병(牙兵) 440명이 있었다고 한다. 또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이 부근에 달보산고성(達寶山古城)이 있었다고 한다.

‘달해산성지(達海山城址)’라고도 하며, 『동국여지승람』에 성 둘레가 1만 5060척이라고 되어 있다.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에 따르면, 신라와 백제가 국운을 걸고 싸울 때 요충지였다고 한다.

화초면 문고리에는 연대를 알 수 없는 옛 성터가 있으며, 그 부근에 군막과 창고가 있었던 까닭에 대막곡(大幕谷)·소막곡(小幕谷)·창대동(倉垈洞)의 지명이 남아 있다. 하람산 정상에는 조선태조가 개국 전에 말을 타고 무술을 익힌 치마대(馳馬臺)와 그 때 마시던 물인 수라천(水刺泉)이 있고, 또 그것을 기리기 위해 정조 때 세운 ‘치마구기비’가 있다.

운중면 임계리 용봉동은 태조의 두 번째 비인 신덕왕후가 출생한 곳으로 ‘신덕왕후사제구기비’가 있다. 광복 당시 건물의 일부가 남아 있던 곡산객사와 그 동쪽에는 고려 말기에 창건된 척서루(滌暑樓)가 있었다.

곡산객사는 창건연대는 전하지 않으며, 정조 때 부사 이익진(李益晉)이 중수했고, 1798년(정조 22) 곡산부사로 와 있던 정약용(丁若鏞)이 개축하였다.

객관의 현판에 쓰인 ‘象山館(상산관)’이라는 글씨는 정조 때 문신 윤사국(尹師國)이 쓴 것이며, ‘鎭瑞館(진서관)’이라는 액자글씨는 곡산부사로 있던 임정(任珽)이 쓴 것이다.

척서루는 곡산객사 안의 동쪽에 있는 누대로 고려 말 지곡주사(知谷州事) 윤상(尹商)이 창건하였다. 당시의 문호 이색(李穡)이 척서루에 관한 내용을 〈곡주신루기 谷州新樓記〉에 담아 기록하였다.

한편, 산에는 오래된 절이 많았는데,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고달산에 고달사(高達寺)·불봉사·운흥사(雲興寺), 증봉산에 사효사(思孝寺), 운달산에 사벽사(沙壁寺), 오륜산에 관적사(觀寂寺), 백운산에 정림사(淨林寺)가 있었다. 『곡산읍지』에는 양수사(兩水寺)·백운사(白雲寺)·진국사(鎭國寺)·입암사(立巖寺)·금전암(金田庵) 등의 이름도 보이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교육·문화

지리적으로 산간벽지에 자리잡고 있어 예로부터 산업·교통은 물론 교육기관도 다른 지방에 비해 뒤떨어진 곳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곡산읍 북쪽 1리 지점에 향교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갑오경장 이후 신교육령에 따라 각 면에 보통학교 1개교가 개설될 때 이 곳에도 보통학교가 세워졌으나, 중등교육기관은 전혀 설립되지 않아 초등교육과정을 마치면 평양·원산·서울 등지로 유학하는 경향이 많았다.

면에 보통학교가 설립되고 통학거리가 먼 이·동에 분교와 간이학교가 세워졌으나, 취학아동에 비해 학급수가 모자라 사학(私學)이 비교적 활발히 건립되었다. 그러나 모두 일제에 의해 강압적으로 폐교되었다.

이들 사학은 신문명을 익힌 향리의 선각자들이 설립해 영재양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하도면 명탄리의 일영학원(日英學院)은 3·1운동 전에 천도교인 김홍문(金弘文)이 설립하였다. 그는 3·1운동에 참여해 일본인 경찰관을 살해하고 복역 후 출감해 다시 학원을 열었으나, 항일 및 독립사상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폐교되었다.

독립투사이자 기독교장로 이용훈(李容薰)이 곡산면에 설립한 삼남학원(三南學院)에서는 한글과 우리 역사 등을 주로 가르쳤으나, 또한 강제로 폐교당하였다.

농가 10여 호가 모여 있는 화촌면 갈산동에 청산학원(靑山學院)이 있었으며, 백년광산의 소유주 원윤수(元胤洙)는 통학거리가 먼 광부들 자제의 교육을 위해 광산촌에 사립으로 백년학교를 설립하였다.

지리적 여건으로 문화 또한 발전하지 못했으나, 종교문화는 다른 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편이다. 높은 산에는 명찰이 많고, 유교·천도교·가톨릭교·개신교·보천교 등이 포교되어 있다. 특히 이 지역의 천도교는 황해도 동부지역의 중심부를 이룬다.

산업·교통

임야면적이 85%로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로 되어 있고, 산록이 방목에 적합해 축우사육이 활발하며, 한지(韓紙)·꿀 등의 산물이 많다. 경지가 좁으나 인구가 적어 호당 경지면적은 2.4㏊나 되며, 경지의 95% 이상이 밭농사지역이다. 조·메밀·고구마·옥수수·콩 등이 주로 생산되며, 금천군 다음으로 고추의 공동판매량이 많다.

군의 북부지역에는 온대의 낙엽활엽수림이 울창해 삼림자원이 풍부해 원목을 평양에 반출하는 한편, 백년광산·기주광산에서 필요로 하는 목재의 전량을 공급하기도 하였다. 동양 제일이라는 백년광산·기주광산에서는 흑중석이 주로 생산된다.

곡산한지는 수안한지와 함께 품질이 좋고 우아해 예로부터 전국에서 손꼽히는 것이었다. 곡산면·운중면·멱미면 등에는 주물공장이 있어서 솥·농기구 등을 제조하며, 가내공업으로 무명·삼베·명주 등이 생산된다.

시장은 2개 면에 1개꼴로 6개가 있어 물품구매와 생필품을 거래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곡산면 장림리의 곡산금융조합을 비롯해 멱미면 문암리의 신평금융조합, 하도면의 선암금융조합 등이 비교적 거래가 많다.

교통은 높은 산과 계곡으로 인해 도로의 개설이 어려우며, 철도도 놓이지 못하였다. 평안남도·함경남도·강원도와 인접하고 있어서 2·3등도로가 개통되어 있을 따름이다. 남천·신계·곡산면·남강·양덕으로 이어지는 2등도로와 멱미면·장양리·문천군으로 이어지는 3등도로가 있다.

상도면 대이에는 금강산과 비슷한 절경이 있어 ‘곡산금강(谷山金剛)’이라 부르며, 멱미면에는 주위 경관이 빼어나게 아름다운 자하담(紫霞潭), 곡산면에는 호로천(葫蘆泉)이 있어 소풍객이 즐겨 찾는 곳이다.

곡산금강은 깊은 계곡에 기암괴석이 걸려 있고 그 사이를 푸른 물이 흐르는 기이한 경관으로 명승지 중의 명승지라 할 만하며,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멀리 하남산(河南山)·증봉산·서백년산(西百年山) 등 높이 1,200∼1,400m의 봉우리로 둘러싸인 곳에 천태만상의 기암괴석이 묘한 조화를 이룬다.

게다가 평안남도의 양덕에서 흘러내리는 봉명천이 지나면서 이루는 자연의 조화는 금강산을 방불케 한다. 봄철에는 온갖 꽃이 기암 사이와 언덕 위에 만개하고, 가을이면 불타오르는 단풍이 산을 뒤덮어 장관을 이룬다. 다만 입구까지 큰길이 없어 관광을 하기에는 교통이 조금 불편하다.

자하담은 평안남도 양덕방면에서 선암·명탄을 거쳐 흘러 내려오는 여러 갈래의 물과 함경남도 덕원 방면에서 발원한 두무강(杜霧江)이 합류해 흐르는 곳에 있는 큰 못이다. 이 물은 다시 멱미면과 청계면 사이에서 곡산면·운중면에서 북류하는 곡산천과 합류, 방향을 바꾸어 서쪽으로 흘러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을 이룬다.

못 주위는 경관이 아름답고 뾰족뾰족한 산봉우리에는 기암괴석이 뻗어 있어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넓은 못에 배를 띄우고 뱃놀이도 할 수 있어 선경이라 할 만하다. ‘자하’라는 이름은 ‘자하동천’·‘자하선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여름철에는 이 곳에서 피서를 하기 위해 많은 인파가 몰린다.

호로천은 오랫동안 계속해서 마시면 만병이 치료된다고 해 다른 지방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전해 오는 말에 따르면, 약 160년 전 어느 군수가 중국에서 가져온 사기로 된 호로병을 잃어 버렸다가 남산 기슭에서 발견했는데, 그 때 땅 속에서 물소리가 들려 파 보니 맑은 샘물이 솟아났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 순조 때 곡산부사로 왔던 신위(申緯)가 샘터 부근에 한보정(閑步亭)이라는 정자를 짓고 호로천의 물로 차를 끓여 마시며 시를 읊던 사실과 관련해 생긴 전설인 듯하다.

읍·면

[곡산면 谷山面]

군의 남부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27.82㎢, 인구 7,23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능동리이다. 북쪽에 구봉산(九峰山, 916m)이 높이 솟아 있으며, 그 지맥이 동남쪽으로 뻗어 내려 100m 내외의 구릉이 많이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지이다. 동남쪽에 곡산천이 흐르는데, 유역에 비교적 넓은 평지가 형성되었고 토지가 비옥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며, 주로 밀·보리·콩·벼·조·메밀 등이 경작되고 닥나무[楮]도 재배된다. 능동리에 있는 주물공장에서는 솥·농기구 등을 제작해 인근지방까지 판매된다.

1·6일에 열리는 곡산장은 남천리에서 열리며, 농산물·일용잡화·소 등이 거래된다. 신계∼양덕간의 2등도로, 곡산∼수안간의 3등도로가 있어 버스가 운행된다. 그 밖에 각 주요 마을을 연결하는 등외도로가 지나 교통은 그다지 불편하지 않다.

구읍내에는 옛 객사가 남아 있고, 남산 기슭에는 유명한 호로천의 약수터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능동(陵洞)·남천(南川)·장림(長林)·송항(松項)·부평(富坪)·적성(赤城)·연하(蓮荷)·장(長) 등 8개 이가 있다.

[도화면 桃花面]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105.49㎢, 인구 5,908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평원리이다. 대부분의 지역이 현무암으로 덮인 용암대지의 평지로 되어 있어 지질상으로 농경지로는 적당하지 않은 곳이 많다.

다만 현암리의 339고지가 분수령이 되어 북반부에 곡산천이, 남반부에 예성강과 그 지류가 흐르며, 이들 각 유역에 규모는 작으나 기름진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로 이용될 뿐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져 콩·조·밀·메밀 등이 경작된다. 산양리에 신계목장이 있어 돼지·면양·소 등이 사육된다.

신계∼양덕간의 2등도로가 동부를, 수안∼곡산간의 3등도로가 서북부를 통과하고, 그 밖의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연결되어 있으나 교통은 불편하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평원(平原)·산양(山陽)·월계(月溪)·현암(玄巖)·무릉(武陵)·갈천(葛天) 등 6개 이가 있다.

[동촌면 東村面]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 면적 253.67㎢, 인구 4,21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한달리이다. 마식령산맥 가운데에 있어 전역이 높은 산지이다.

특히 남부에는 용야산(龍野山, 1,040m)·입암산·고달산(高達山, 866m) 등의 높은 산악이 잇따라 솟아 있고 북부에는 동백년산·생왕봉(生旺峰, 852m) 등이 솟아, 이들 여러 산들의 지맥이 전역으로 뻗어 내렸다.

고달산의 일부는 동서지방의 분수령이 되어 동쪽에는 구당리천(龜塘里川), 서쪽에는 곡산천이 흐르는데, 이들 냇가에 규모는 작으나 평지가 형성되어 주민의 경작지 또는 주거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며 밭농사가 주가 되어 콩·팥·조·벼·밀·잎담배 등이 경작되고, 닥나무도 재배된다. 그 중 잎담배는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동북단 도계의 일부지역은 동백년광산 광구에 해당되어 중석·금·은 등을 채굴한다. 산악지대인 만큼 도로가 미비해, 곡산천·구당리천의 계곡을 따라 나 있는 등외도로가 겨우 각 주요 마을과 연결될 뿐이어서 교통이 불편하다.

이상리에 있는 고달산은 산 전체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기암괴석이 천태만상을 이루고 계절에 따라 경치가 변화되어 ‘소금강’이라 부른다. 산정에 신라시대에 창건한 고달사가 있으며, 경내에 고달굴(高達窟)이라는 동굴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한달(閑達)·귀락(貴洛)·이상(梨上)·이하(梨下)·오륜(五倫) 등 5개 이가 있다.

[멱미면 覓美面]

군의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193.31㎢, 인구 1,40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문암리이다. 중앙부를 남북으로 흐르는 남강에 의해 크게 동부 산지와 서부 산지로 나누어진다.

동부 산지에는 형제봉(兄弟峰, 933m)·달해산(達海山) 등이 솟아 있으며, 그 사이를 두무강이 있어 남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서부 산지에는 백산(柏山, 1,240m)·고천덕(高天德, 651m) 등이 솟아 있고, 그 사이를 곤천(昆川)이 흘러 또한 남강으로 들어간다. 남강과 그 지류의 유역에는 길고 좁은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거주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논농사보다는 주로 밭농사가 이루어져 콩·조·밀·메밀·벼 등이 경작된다. 문암리를 중심으로 양덕·곡산 방면에 2등도로가 통과하고, 함경남도 덕원군으로 3등도로가 통과한다. 대체로 교통은 불편하지 않으나 동과 서의 산지 내 교통은 아주 불편하다.

문암리에는 남강의 여러 지류가 합치는 곳에 기암괴석으로 된 명승지 자하담이 있고, 마가리의 오륜산(五倫山)에는 성불사(成佛寺)의 말사인 오래된 관적사가 있으며, 문성동의 검암령 아래에는 문성진터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문암(文巖)·마하(摩訶)·상단(上端)·오류(五柳)·생왕(生旺)·송현(松峴)·두무(杜霧)·장양(長陽)·하단(下端) 등 9개 이가 있다.

[봉명면 鳳鳴面]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71.73㎢, 인구 3,22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신언리이다. 동쪽에 증봉산, 서쪽에 서백년산(1,217m), 남쪽에 각욱산(角旭山, 941m), 북쪽에 물금산 등의 높은 산악이 사방으로 솟아 있고, 그 지맥이 면내로 뻗어 내려 대부분의 지역이 높은 산지로 되어 있다.

사방에서 발원한 작은 내를 합친 봉명천이 서남으로 흘러 남강으로 들어간다. 봉명천 유역에는 좁고 긴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산지가 많아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져 조·밀·콩·팥·감자·대마 등이 경작된다.

일부 산간주민들은 목탄을 제조하고 약초를 재배하기도 한다. 조양리를 기점으로 해 봉명천의 계곡을 이용한 등외도로가 주요 마을에 겨우 연결될 정도로 교통이 불편하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신언(新彦)·조양(朝陽)·동천(桐川)·택인(擇仁) 등 4개 이가 있다.

[상도면 上圖面]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220.17㎢, 인구 2,28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웅담리이다. 면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흐르는 선암천(仙巖川)에 의해 크게 동부 산지와 서부 산지로 나누어진다. 동부 산지에는 종석산(鐘石山, 1,273m)·노고산(老姑山, 1,181m), 서부 산지에는 증봉산·기추봉(騎騶峰, 1,142m) 등 높은 산이 솟아 있다.

각 계곡을 흐르는 작은 내는 모두 선암천에서 합쳐진다. 따라서 선암천과 그 지류 유역의 좁은 평지가 주요한 경작지와 주거지가 된다. 주민들은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져 밀·보리·조·콩·팥·메밀·옥수수 등이 경작된다.

웅담리를 중심으로 선암천과 그 지류의 연안을 따라 등외도로가 통해 주요 마을과 연락은 할 수 있으나, 교통은 아주 불편하다. 대이에는 ‘곡산금강’이라 부르는 명승지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웅담(熊潭)·지경(地境)·대동(大同)·장암(將巖)·방동(坊洞)·희업(希業) 등 6개 이가 있다.

[서촌면 西村面]

군의 서남쪽에 위치한 면. 면적 65.53㎢, 인구 2,43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도리포리이다. 동쪽의 면 경계지역에 대각산(大角山, 1,277m)·대동산(垈洞山, 840m)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서쪽으로 뻗쳐 있다.

대각산의 서쪽에 있는 육동(陸洞)의 높이 628m의 산이 남북으로 분수령을 이루어 북부의 물은 남강으로 흐르고, 남부의 여러 작은 내는 남류해 예성강으로 들어간다. 이들 유역에 소규모의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나, 본래 토지가 메마르고 생산물도 넉넉하지 못하다.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주가 되어 조·메밀·밀·콩·옥수수 등이 경작된다. 북부지방의 주민들은 이웃한 수구면의 홀동광산(笏洞鑛山)으로 품팔이 나가는 경우가 많았다. 예성강의 상류를 따라 생긴 작은 길이 각 마을로 통할 뿐, 일반적으로 도로가 미비해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대각산 중턱에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원당(願堂)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고, 부근에 용수암(龍繡巖)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도리포(桃李浦)·조인(助仁)·화천(貨泉)·금성(錦城) 등 4개 이가 있다.

[운중면 雲中面]

군의 가장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101.65㎢, 인구 5,16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초평리이다. 동쪽에 명지덕산(明地德山, 911m), 남쪽에 덕업산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어 남동부는 일반적으로 산지를 이루고 북반부는 대체로 평지이다.

동촌면에서 내려오는 곡산천이 북쪽으로 흘러 곡산면을 지난 다음 남강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유역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땅이 기름지고 수리도 좋아 경작지역이 모두 논을 이루어, 군내에서는 쌀의 다산지로 손꼽힌다. 주요 산물은 쌀 외에 콩·조·밀·옥수수 등이고, 닥나무·대마 등이 재배된다.

도로는 곡산천의 연안을 따라 각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개통되었을 뿐 일반적으로 불편하다. 임계리 용봉동에 조선태조와 신덕왕후 강씨가 가연을 맺게 된 인연의 용연이 있다. 왕후의 집이 있던 터에는 정조의 친필로 된 기념비석이 있고, 이 밖에 유촌리에는 한씨효자문이 있다. 초평(草坪)·유촌(柳村)·완정(完井)·동포(洞浦)·우밀(右密)·문원(文原)·임계(林溪) 등 7개 이가 있다.

[이령면 伊寧面]

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221.68㎢, 인구 2만 156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추전리이다. 중앙의 두무산과 그 동쪽 지맥을 분수령으로 해 크게 산북지방과 산남지방으로 나누어진다.

산북지방에는 수래산(水來山, 1,083m)·문전산(門前山, 910m) 등이 솟아 있고, 산간 사이를 추전천(楸田川)과 그 지류가 북류해 남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산남지방에는 동백년산과 형제봉이 솟아 있고, 산지 사이를 두무천과 그 지류가 흘러 또한 남강으로 들어간다. 유역에 규모는 작으나 좁고 긴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거주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로 조·밀·콩·옥수수·팥·메밀 등의 밭농사가 이루어진다. 동백년산의 서북쪽에 있는 백년광산은 1932년 이후 개발된 동양 제일의 중석광산이다. 한때는 월 200∼300t을 채굴했고 노무자가 수천 명에 달하였다. 거리소리에 제1차 제련소가 있다. 이 광산에서 가까운 기주광산에서도 다량의 중석이 채굴된다.

주요 마을에 등외도로가 겨우 통할 뿐 교통은 불편하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추전(楸田)·난전(蘭田)·도음(陶陰)·거리소(巨利所) 등 4개 이가 있다.

[청계면 淸溪面]

군의 남부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116.42㎢, 인구 4,98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문양리이다. 동쪽에 만년산(萬年山, 901m), 서북쪽에 대각산, 남쪽에 구봉산, 북쪽에 묘각산(妙角山, 1,071m)이 솟아 있으며, 그 여맥이 면의 내부로 뻗어 내려 일반적으로 산지가 많다.

그러나 중부 및 남부 지역은 150m 내외의 평탄지로 되어 있다. 남강의 지류인 곡산천이 북쪽으로 흐르며, 유역에는 소규모의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그 밖에 경사지·계곡·분지 등이 경작지로 이용된다.

농업이 주산업이며 곡산천 유역에서는 논농사가, 그 밖의 지역에서는 콩·밀·팥·조·메밀·대마 등의 밭농사가 이루어진다. 문양리를 중심으로 경의선의 남천역(南川驛)이 있고 양덕방면에 2등도로가 통과하며, 수안읍내에는 3등도로가 뻗어 있다. 그러나 산간지방은 험한 고개가 많고 도로도 미비해 교통이 불편하다.

북부의 희량산(熙凉山) 동쪽 기슭에 있는 ‘외골’에 구룡폭포(九龍瀑布)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문양(文陽)·청송(靑松)·성곡(城谷)·고로(古老) 등 4개 이가 있다.

[하도면 下圖面]

군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79.50㎢, 인구 4,82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명탄리이다. 중앙부를 남북으로 흐르는 남강에 의해 동부 산지와 서부 산지로 나누어진다. 동부 산지에는 수래산·연두봉(蓮頭峰, 973m), 서부 산지에는 종석산·노고산이 솟아 있다.

두 산지 사이를 남강과 그 지류가 흐르며, 연안에 좁고 긴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보리·밀·콩·팥·조·옥수수 등을 경작한다. 일부 주민은 깊은 산간으로 들어가 목탄제조·약초재배에 종사하기도 한다.

양덕∼곡산간의 2등도로가 남강을 따라 통과하고, 여기서 다시 주요 마을로 통하는 등외도로가 나 있어 남강연안지방의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 그러나 두 산지 내의 교통은 매우 불편하다. 하람산에는 정조 친필의 치마구기비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명탄(鳴灘)·미산(眉山)·횡천(橫川)·하남(河南) 등 4개 이가 있다.

[화촌면 花村面]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97.30㎢, 인구 6,80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광천리이다. 면의 중앙을 동서로 흐르는 남강에 의해 북부 산지와 남부 산지로 나누어진다.

북부 산지에는 청운산(靑雲山, 868m)과 각욱산 등이, 남부 산지에는 대각산과 묘각산 등이 솟아 있고, 그 사이를 흐르는 남강 유역에 좁고 긴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나 주거지로 이용된다. 농업이 주산업이며 주요 농산물은 쌀·밀·조·과일 등이고, 닥나무도 재배한다. 근래에는 과수원을 경영하고 닥으로 한지를 만드는 주민이 증가하고 있다.

남강과 그 지류를 따라 등외도로가 통하나 교통은 불편하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광천(廣川)·도리(桃李)·청금(靑衿)·운암(雲巖)·청룡(靑龍)·봉산(蓬山)·장평(長坪)·무고(無故) 등 8개 이가 있다.

광복 후 변천

1952년 행정구역 개편시 곡산군의 북쪽 반 가량은 분리되어 신평군이 신설되고, 수안군 천곡면(泉谷面) 일부와 신계군 사지면(沙芝面) 일부, 곡산군 곡산면·청계면(淸溪面)·운중면(雲中面)·도화면(桃花面) 등과 신계군 촌면(村面) 일부가 합쳐져 곡산군이 되었다.

현재 황해북도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강원도 판교군, 서쪽은 수안군, 남쪽은 신계군, 북쪽은 신평군에 접해 있다. 동경 126。32'∼126。53', 북위 38。38'∼38。52'에 있으며, 면적 523㎢, 인구 6만 7200여 명(199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은 곡산읍과 송림(松林)·호암(虎巖)·계수(溪水)·문양(文陽)·청송(靑松)·고성(古城)·초평(草坪)·병술(兵術)·용암(龍巖)·동산(東山)·세림(細林)·사현(沙峴)·월양(月陽)·평암(平巖)·서촌(西村)·무갈(武葛)·계림(溪林)·율리(栗里)·현암(玄巖)·오리포(五里浦) 등 20개 이로 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곡산읍이다.

군의 지세는 동쪽이 높고 남서쪽으로 낮아진다. 동쪽에 아호비령산맥(阿虎飛嶺山脈)이 뻗어 내리면서 대암산(大巖山, 960m)·고달산(高達山, 866m)으로 뻗고, 다시 입암산(立巖山, 1,107m)·명지덕산(明地德山, 911m)·태을산(太乙山, 681m)으로 이어지면서 강원도와의 자연경계를 이룬다.

북쪽은 언진산맥(彦眞山脈)이 대암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리면서 희량산(熙凉山, 740m)·묘각산(妙角山)·대각산(大角山, 1,277m)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다. 서쪽은 예성강(禮成江)과 이 강으로 흐르는 언진천(彦眞川)의 여러 지류의 개석으로 단목산(檀木山, 550m) 같은 잔구가 남아 있고, 남쪽에는 대굴산(大窟山, 434m)이 태을산을 바라보고 있다.

이 사이를 예성강의 지류인 지석천(支石川)이 흘러 넓은 하곡을 형성하며, 이 곳에 1965년에 축조된 신곡저수지(新谷貯水池)가 있다. 이 군의 이남지역은 현무암이 분출, 퇴적해 평탄면을 이루며, 북쪽지역은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으로 유입하는 곡산천(谷山川) 유역으로 산지가 넓다.

지질은 시생대층과 중생대 관입암(貫入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8.8℃, 1월 평균기온 -8.5℃, 8월 평균기온 23.9℃이고, 연평균강수량은 1,200∼1,500㎜이다.

경지면적은 군면적의 약 40%인데 이 중 밭이 60%, 논이 27%, 과수원이 8%, 기타가 5%를 차지한다. 그러나 땅이 매우 척박해 한 번 곡식을 심으면 되지 않으므로 ‘밀어 던진다’ 해 이 고장을 ‘미루등’이라고 불렀다. 지금은 농경지 외에 남침을 위한 공군기지가 건설되어 있다고 한다.

근년에는 신곡저수지를 비롯한 관개시설을 갖추어 벼농사도 짓고 옥수수·밀·콩 등을 산출하며, 사과를 비롯한 과수재배도 많이 한다. 군의 북서부에는 평양과 원산을 연결하는 평양·원산고속도로가 통하고, 곡산을 중심으로 신평·연산·수안·신계·판교 등을 연결하는 도로가 나 있다.

곡산은 신덕왕후(神德王后 : 조선 태조의 계비)의 사제구기(私第旧基)여서 1799년(정조 23)에 세운 ‘聖后私第舊基(성후사제구기)’라는 여섯 자의 왕의 친필로 된 비석이 남아 있다.

이 곳의 객사는 조선정조가 중수했는데 6·25전쟁 때 소실되었다. 동산리(東山里)의 소나무는 높이 12m, 밑둘레가 3.7m나 된다. 군의 북서단에 있는 대각산은 대각산동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보호구에는 소나무·참나무 숲이 기본이고, 그 밖에 자작나무·사스래나무·고로쇠나무·단풍나무 등이 있다. 또한 사향노루·노루·산양·멧돼지·오소리·곰·수리부엉이·알락할미새·후리새 등이 많고, 남한에서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사향노루가 특별히 보호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곡산남자고등중학교와 곡산여자고등중학교가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대동지지』
『황해도지』(김용국, 1970)
「곡산읍지」(이북오도위원회, 『이북5도30년사』, 1981)
『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재관리국, 1985)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신라하대의 패강진」(이기동, 『한국학보』4, 1976)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