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은 경기도와 강원도, 서쪽은 평산군, 남쪽은 연백군과 경기도 연천군·장단군·개풍군, 북쪽은 신계군과 강원도 이천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14′∼126°56′, 북위 38°2′∼38°26′에 위치하며, 동서로 긴 편이다. 면적 959.46㎢, 인구 7만 2281명(1944년 현재)이며, 12개 면 111개 이로 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금천면 금릉리이다.
동북부에 마식령산맥이 뻗어 있어 설화산(雪花山, 581m)·학봉산(鶴峰山, 564m)이 있고, 남쪽으로 경기도와의 경계에 제석산(帝釋山, 744m)·수룡산(秀龍山, 717m)·대둔산(大屯山, 760m) 등이 솟아 있으며, 제석산 밑에는 천연의 요새로 알려진 청석골[靑石峴]이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멸악산(滅惡山)과 마식령산맥의 사이를 흘러내리는 예성강과 동쪽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구연천(九淵川)의 유역 등으로 되어 있다. 경기도와의 경계에는 임진강이 지나간다. 이 물줄기를 따라 시변리·조읍포(助邑浦) 등의 산물집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기후는 봄과 여름에 동남풍이 불고, 가을과 겨울에는 서북풍이 많이 분다. 그러나 동·서·북의 3면이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어 강한 바람을 막아 준다.
연평균기온은 11.5℃, 1월 평균기온 -5.5℃, 8월 평균기온 25.9℃이며, 연강수량은 1,390㎜로 다른 군에 비해 많은 편이다. 첫얼음은 11월 초순경부터 얼기 시작해 다음 해 4월 중순경에나 완전히 녹는다.
[고 대]
이곳에서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이 발견된 적은 없으나, 인접한 평산과 연백·개풍 등지에서 구석기시대 이후의 유물·유적이 다수 발굴된 점과, 예성강과 임진강을 끼고 있는 지리적 여건으로 미루어 보면 앞으로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이 출토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삼국시대에는 원래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4세기 말엽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구려의 지배기에 중심부인 우봉은 우리말로 수지의(首知矣), 즉 소재라 불렀고, 한자로는 우령(牛嶺) 또는 우잠(牛岑)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토산은 오사함달(烏舍含達) 또는 사달이라 했고, 강음은 굴어압(屈於押) 또는 굴압이라고 불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당군이 673년(문무왕 13)에야 우잠성으로부터 항복을 받았다고 하므로, 신라가 당군을 크게 격파한 675년 이후에 신라에 복속된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는 먼저 예성강 이남지역의 지배권을 확립해 694년(효소왕 3) 우잠에 성을 축조하고, 757년(경덕왕 16)에는 세 지역을 모두 개칭해 우봉군(牛峰郡)·토산군(兎山郡)·강음현(江陰縣)으로 정하는 한편, 우봉과 토산은 한주(漢州)에, 강음은 송악군에 소속시켰다.
786년(원성왕 2)에는 대사(大舍) 무오(武烏)가 『병법』 15권과 〈화령도 花鈴圖〉를 지어 왕에게 바침으로써 굴압현령에 제수되었다. 우봉과 토산은 782년(선덕왕 3) 패강진(浿江鎭)이 설치됨에 따라 이에 이속되었다.
[고 려]
일찍부터 송악에 소속되어 있던 강음은 1018년(현종 9) 개성현의 속현으로서, 우봉과 토산은 각각 평산과 장단의 속현으로서 모두 상서도성(尙書都省)이 관할하다가 1062년(문종 16) 개성부의 직할령으로 개편되었다. 1106년(예종 1)에는 우봉과 토산에, 1145년(인종 23)에는 강음에 감무가 설치되었다.
수도인 개성의 서북쪽에 예성강을 끼고 접해 있다는 지리적 여건으로 말미암아 금천은 고려조를 통해 육상·수상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1019년(현종 10) 거란족을 맞아 강감찬(姜邯贊)이 구주(龜州)에서 대첩을 올리자 왕이 직접 우봉의 영파역(迎波驛)에 나가 환영하고 역이름을 흥의역(興義驛)으로 고쳤다.
1216년(고종 3)에는 거란의 잔당이 대거 침입해 개성 가까이 온 것을 흥의역과 강음의 금교역(金郊驛) 사이에서 조충(趙沖)의 공로로 대파하였다. 몽고와 홍건적의 침입 때에도 금교역과 흥의역 사이가 격전장이 되었다. 1391년(공양왕 3) 금천지역은 모두 경기우도에 편입되었다.
[조 선]
우봉은 1395년(태조 4) 현으로 승격되어 현령이 두어졌고, 토산은 1412년(태종 12), 강음은 1413년에야 현으로 승격되어 모두 현감이 두어졌으며, 세 지역 모두 1413년에 황해도로 이속되었다.
1651년(효종 2) 우봉현과 강음현이 합쳐져 처음으로 금천군이 편성되었는데, 이는 비록 수도가 한양으로 옮겨졌지만 이곳이 금교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의 역할을 하는 데다가, 임진강변의 시변리와 조읍포가 물산의 집산지여서 그 중요성이 높았던 데 기인한 것이다.
시변리장터는 한강 이북에서는 가장 성대한 장시로 일컬어졌고, 조읍포는 황해도 황주·봉산·평산 이동지역의 조세양곡을 수납해 서울로 옮기는 곳이었다.
개성인삼이라고 이름 붙인 인삼의 대부분이 이곳에서 재배된 것도 발전에 큰 몫을 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15세기 중엽 금천의 호수는 1,528호, 인구는 4,330명이었는데, 1828년(순조 28)에는 호수 4,119호, 인구 2만 700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근 대]
1895년 을미개혁에 의해 행정구역이 개편됨에 따라 금천군과 토산군으로 편성되었다가 경술국치 직후인 1914년 토산군이 폐지되면서 미원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모두 금천군에 소속되었다.
1935년 당시 총 15개 면 111개 이로 편성되어 있었으며, 1942년의 호구는 1만 2802호에 6만 8352명이었다. 근대인물로는 3·1운동 때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1925년 만주로 망명해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 최고위원으로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이동락(李東洛)을 꼽을 수 있다.
조선시대 금천읍 당시의 관아 및 풍영루(風詠樓)·영수루(映水樓) 등의 누대가 있고, 1809년(순조 9)에 군수 박남원(朴南源)이 동헌문루 앞에 판 연못과 좌우 언덕에 심은 버드나무 및 느티나무가 있다.
청룡포(靑龍浦)에는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순절한 좌방어사 이중로(李重老) 등 8명의 장사를 모신 민충사(愍忠祠) 유지와 민충사에 봉안되었던 여덟 장사의 공적과 충절을 기록한 사적비가 광복 때까지 남아 있었다.
합탄면에 솟은 수룡산에는 694년(효소왕 3)에 쌓은 송악·우잠의 두 성터가 있어, 그 때부터 백계현 고갯길은 국방 및 교통의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고동면 구읍리제석산 기슭에는 명종 때의 의적 임꺽정이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신출귀몰하며 탐관오리들을 징계하고 부호들의 재산을 털어 쌓아 두고는 빈민들에게 나누어주던 본거지인 청석골이 있다.
예성강변에 있는 조읍포에는 옛날 황주·평산·신계 등 황해도의 12군·현에서 조세로 받아들인 양곡을 보관하던 조세창고의 유터가 있다.
이곳은 육로 및 해로의 교통이 편리했으므로, 조세양곡은 수운판관의 지휘를 받아 이곳에서 배편으로 예성강을 따라 서해로 빠져나갔다가 다시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 마포로 보내졌다.
금천면 영파리에는 고려 때 금교도(金郊道) 16역 중의 하나인 흥의역터[興義驛址]가 있다. 고려 현종 때 강감찬이 거란의 대군을 물리치고 개선할 때 현종이 이곳까지 직접 나와서 마중한 유서 깊은 역이다.
토산면의 임진강 언덕에는 삼성대(三聖臺)가 있다. 이곳에 오르면 임진강의 푸른 물결이 넘실거리고 강가에는 아담한 정자도 있어 경관이 수려하며, 특히 삼성대의 뱃놀이는 중국 적벽강의 청유(淸遊:속진을 떠나 자연을 즐김)와 비유되기도 한다.
삼성대라는 이름은 단군 왕검이 아들 부루(夫婁)와 함께 이곳에 왔으며 기자(箕子)도 왔었다고 해서, 이 말을 전해들은 이이(李珥)가 지었다고 전한다.
일설에 따르면, 기자 때 세 성인이 선녀들과 같이 하늘에서 내려와 놀았다는 데에서 기인한다고도 한다. 그 밖에 웅덕면의 팔인정(八人亭)과 구이면의 침벽정(枕碧亭) 및 서북면의 재취정의 옛터가 있어, 옛 선비들의 흥취를 느끼게 한다.
교육기관의 효시는 1712년(숙종 38)에 창건된 도산서원(道山書院)이다. 여기에는 고려 말기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이종학(李鍾學), 조선 인조 때의 문신 조석윤(趙錫胤)이 배향되어 있으며 선비들의 강학도장이 되었다. 갑오경장 후 신교육령이 발표되면서 군내의 선각자들은 곳곳에 사립학교를 설립하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한말 이후에 설립된 사숙으로는 양정서당(養正書堂)·명성사립학교(明城私立學校)·송정사립학교(松亭私立學校)·금릉학교(金陵學校)·석동학교(石同學校)·오목학교(梧木學校)·조포학교(助浦學校)·광신학교(光新學校)·대명학원(大明學院)·세포학교(細浦學校)·석월학교(石月學校) 등이 있었다.
1911년 일제가 이른바 〈조선교육령〉을 발표하면서 군내 각 면에 1개교씩 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취학아동수에 비해 학급수가 부족해 보통학교에 취학하지 못한 어린이들이 사학으로 몰렸으나, 일제가 사학 설립을 억제해 무학아동의 수가 많았다.
더구나 중등교육기관이 없었으므로 향리에서 초등교육을 수학한 청소년 가운데 경제사정이 허락하는 경우에는 외지로 유학을 갔다.
종교는 불교·유교 등 전래의 종교 외에 천주교·개신교 및 천도교 등이 고루 포교되었으며, 특히 천도교가 도내에서 가장 활기를 띠었다. 천도교교당 5개, 천주교성당 1개, 개신교교회 14개 및 총리원이 있다. 그 밖에 좌면과 웅덕면에는 한때 보천교(普天敎)의 교세가 왕성하였다.
한편, 전국적으로 알려진 민요는 아니지만, 토산지방의 향토민요로 쌍동이그네를 뛰면서 부르는 노래인 〈올콩졸콩〉과 〈캐묻는 노래〉가 전해 오고 있다. 〈올콩졸콩〉의 가사는 “올콩졸콩 참대콩/바위 나리진 다래콩/오랭조랭이 땅방울/예두새끼 부전이/부지령나무 꺾어다/만두산에다 집짓고/양친부모 모셔다/천년만년 살고지고.”이다.
〈캐묻는 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김첨지 나무가세/배아파 못가겠네/무슨배 자라배/무슨자라 읍자라/무슨읍 솔읍/무슨솔 다북솔/무슨다북 천지다북/무슨천지 고천지/무슨고 망근고/무슨망근 당망근/무슨당 선황당/무슨선황 개선황/무슨개 파래개/무슨파리 통파리/무슨통 비지통/무슨비지 콩비지/무슨콩 새콩/무슨새 할미새/무슨할미 네할미.”이다.
이 고장에 전하는 설화로는, 1905년(광무 9) 경의선 개통시 경기도와 황해도 경계에 있는 황해도 내 첫 번째 역인 ‘계정’역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200년 전 어느 날 풍수지리에 밝은 승려가 이씨 집에 찾아와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때마침 이씨가 부친상을 당해 좋은 묘 자리를 찾고 있음을 알게 되자 구읍리의 뒷산에 있는 명당자리를 일러주었다. 그 곳은 병사 8명이 나올 자리였다.
과연 명당의 덕으로 이씨 집안에서 8명의 병사가 나왔고, 이씨도 평안병사가 되어 부임하였다. 그런데 예전의 승려가 평안병사를 찾아가니 그는 지난날의 은공을 잊고 푸대접을 하였다.
이에 분개한 승려는, 전일의 묘 자리가 좋기는 하나 더 이상의 영화를 누릴 수 없으니 좀 더 좋은 자리로 이장할 것을 권유하며 흉지를 길지라고 가르쳐 주었다.
이 말을 듣고 이장하기 위해 무덤을 파는데, 무덤 속에서 황금색 닭이 튀어나와 부근의 우물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이후 그 집안은 기울기 시작해 8명의 병사가 모두 파직되고 끝내 망했다고 한다.
여기서 금닭이 날아 들어갔다는 ‘계정’이 광복 당시까지 남아 있었으며, 계정동·계정역 등의 명칭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금천군은 산지가 64%로 많은 편이며, 경사지와 밭이 88%나 된다. 자작농가가 많고 호당 경지면적이 도내에서 가장 넓다. 농산물로는 보리·밀·콩·귀리·대마 등의 생산이 도내 2·3위에 이른다.
특히 농우·인삼·밀봉·한지·목탄 등은 일찍부터 이 고장의 5대 산물로 알려졌으며, 콩은 ‘금천대두(金川大豆)’로서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다.
산과 경사지의 밭농산물로 일부 내한성 고산지 작물이 생산되어 서울·개성의 대도시민의 기호품으로 공급된다. 또한 임산물로 장작과 숯이 생산되어 개성은 물론, 경인지구 도시민에게 연료로 공급된다. 지하자원으로는 금·철·텅스텐·석탄 등이 생산된다.
교통은 임진강의 상류와 예성강의 지류인 구연천이 동서로 양단되어 수륙교통이 다소 불편하며, 중심지역의 발달에도 제약이 된다. 서부지역은 경의선이 금천을 거쳐 평산군 한포(汗浦)로 연결되는 데 반해 북부는 시변리를 중심으로 4개의 2등도로가 연결된다.
즉,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이천, 그리고 도내의 남천·신계·곡산 방면으로 사통팔달해 산물의 집산지이자 교역의 중계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시변리장(일명 토산장)은 농우를 비롯해 농산물과 임산물의 거래가 매우 활발해, 예로부터 충남의 광천(廣川)장터와 함께 많은 거래량이나 큰 상권으로 전국에서 손꼽히고 있다.
[고동면 古東面]
군의 서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70.36㎢, 인구 5,83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송현리이다. 동면과 고현면이 합쳐져 고동면이 되었다.
동남단 경기도와의 경계에 두석산(豆石山, 415m)·빙고산(氷庫山, 315m), 중앙부에 설우산(雪雨山, 236m) 등이 솟아 있지만, 그 밖의 지역은 대부분 평야이다. 특히 예성강 연안과 중앙부의 저지대는 토지가 기름져 농경지로 이용된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을 비롯해 콩·보리·밀·조 등이 생산되고, 특산물로 석회석·목탄 등이 산출된다. 경의선이 남부를 남북으로 달리고 계정역이 설치되어 있다. 경의가도가 대체로 경의선과 병행하고, 서쪽 평야부에는 나성리를 중심으로 각 주요 마을에 3등도로 또는 등외도로가 통한다.
구읍리의 계정동은 풍수가들의 입에 많이 오르는 명당으로 전해 내려온다. 구읍리에 있는 ‘청석골’은 조선 명종 때 의협심이 강했던 도둑 임꺽정 무리들이 산채를 지어 약탈의 본거지로 삼았던 곳으로, 제석산 줄기의 영향으로 지형이 천연적 요새지였다. 청석골은 그에 얽힌 일화와 야화가 많아 전국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송현리에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송현(松峴)·구현(九峴)·강정(江亭)·구읍(舊邑)·덕산(德山)·지동(紙洞)·나성(羅城)·구성(鷗城) 등 8개 이가 있다.
[구이면 口耳面]
군 중앙부의 동쪽에 위치한 면. 면적 66.63㎢, 인구 4,73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덕안리이다. 동남단에 수룡산, 서북부에 군장산(軍長山, 351m) 등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전역으로 뻗어 내려 곳곳에 구릉이 형성되어 있다. 구연천의 여러 지류가 모두 북쪽으로 흐르는데, 유역에 규모가 작은 평지가 발달해 면의 주요 생산지가 되며 거주지로 이용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요 농산물은 콩·보리·밀·조·쌀·인삼 등이다. 주민 가운데 일부는 누에치기를 한다. 시변리·금천면 사이의 2등도로가 북부를 동서로 횡단하고, 그 밖의 각 주요 부락에 등외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유적으로는 명필 석봉(石峰)한호(韓濩)를 기념하는 침벽대(枕碧臺)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덕안리에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덕안(德安)·무릉(武陵)·미당(美堂)·월전(月田)·송천(松川)·문성(文成)·관문(冠門) 등 7개 이가 있다.
[금천면 金川面]
군의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82.93㎢, 인구 9,44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금릉리이다. 동쪽에 제석산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서쪽에 작은 구릉을 형성시키나,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평지이다.
예성강이 서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데, 제석산지에서 발원한 작은 내는 모두 이 강으로 들어간다. 유역에 규모는 작으나 평야가 형성되어 있어 주요 생산지대와 거주지역이 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주요 농산물은 쌀을 비롯해 콩·조·보리·밀·목화 등이다. 근년에는 배·사과 등 과수의 재배도 성황을 이루게 되었다. 교통은 서부에 경의선이 남으로 달리고 금교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경의가도가 대체로 철도와 병행해 개성·평양으로 통하므로 그리 불편하지 않다.
예성강의 지류인 오조천이 무동산록을 흐르는데, 기암절벽으로 된 명승지인 영수병(映水屛)이 있다. 무동산에는 예로부터 3개의 항아리가 묻혀 있어 한발을 점쳤다고 한다.
금천∼온정원(溫井院)간의 가도에는 이괄의 난 때 장군 이중로가 전사한 고전장이 있고, 그의 무절(武節)을 표창하고 영정을 봉사하는 민충사가 있다. 영파리에는 조선시대의 금교도 16역 가운데 하나인 흥의역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 중학교 2개교가 있다. 금릉(金陵)·잠성(岑城)·영파(映波)·중산(中山)·학현(鶴峴)·월암(月巖)·마전(馬前)·문명(文明)·갈현(葛峴)·용인(龍仁)·가덕(加德)·소학(巢鶴) 등 12개 이가 있다.
[산외면 山外面]
군의 서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41.65㎢, 인구 3,28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신명리이다. 군 전체가 산지로 되어 있으나, 이 면만은 산을 벗어나 평야지대에 자리잡고 있다고 해 산외면이라고 한다.
북쪽에 천지산(天地山, 372m), 동쪽에 석정산(石鼎山, 360m)·두학산(逗鶴山, 324m) 등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전역으로 뻗어 내려 대체로 산지가 많다. 다만 서쪽이 트여 있고, 삼면에서 발원한 여러 계곡의 물이 모여 고지천(古地川)의 상류가 되어 서쪽으로 흐른다.
유역에 작은 평지가 형성되어 면의 주요 생산지대 및 거주지역이 된다. 주요 농산물은 콩·조·보리·밀·쌀 등이다. 금천면에서 해주로 향하는 3등도로가 북부를 동서로 통할 뿐이고, 철도편도 경의선의 금천역은 약 15㎞ 지점에 있어 교통이 불편하다.
하양허씨(河陽許氏)와 하동정씨(河東鄭氏)가 약 400여 년 전부터 토착해 대를 이어 살고 있는데, 하동정씨는 면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한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신명(新明)·설학(雪鶴)·영청(永淸)·오봉(梧鳳)·황룡(黃龍) 등 5개 이가 있다.
[서북면 西北面]
군의 서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79.54㎢, 인구 3,74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조읍리이다. 중앙부의 도비산(都碑山, 330m)에 의해 산북과 산남으로 나뉜다.
산북지방은 서남쪽으로 천신산(天神山, 372m)·학현(鶴峴, 382m)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면내로 뻗어 있다. 이곳에서 발원한 여러 냇물이 예성강으로 들어가는데, 유역에 소규모의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로 이용된다. 주요 농산물은 쌀·조·콩·보리·밀 등이다.
산남지방은 서쪽에 석정산·두학산 등이 솟아 있고, 그 여맥 역시 면내로 뻗어 산북에 비해 평지가 적다. 다만 압수천(鴨水川) 하류의 어귀에 좁은 평지가 형성되었을 뿐이다. 금천∼해주간의 2등도로가 동서로 횡단하고, 이 도로에서 각 주요 마을에 이르는 등외도로가 뻗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산북지방의 조읍포(助邑浦)는 썰물을 이용, 범선이 바다로부터 이곳에 기항해 화물을 하역하고, 이곳의 생산물을 싣고 썰물 따라 바다로 내려가는 자연을 이용한 항구이다. 동남쪽으로는 경기도 개성, 남쪽으로는 배천, 서쪽으로는 해주, 서북쪽으로는 재령과 길이 닿는 길목으로 해륙교통의 요충지이다.
이에 따라 근세까지 이곳에는 세금으로 받아들인 곡물을 보관하는 조세창고인 조읍포창이 있었다. 이 창고에는 강음현을 비롯해 황주·서흥·평산·봉산·곡산·수안·신계·안악·재령·우봉·토산 등 12군·현의 조세양곡이 보관되었다가, 수운판관의 지휘로 다시 배편으로 예성강에서 서해를 통해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서울의 마포진으로 운송되었다. 이곳에는 조포미세혁파기념비(助浦米稅革罷記念碑) 등의 비석이 남아 있다.
백석리의 천신산에는 승왕사·현암사 등의 여러 큰 절이 있었는데, 그 중 승왕사는 고려 말의 승려 신돈(辛旽)이 지내던 곳이다.
강음리에는 옛 강음현지(江陰縣地)가 있고 원산리에는 인천강씨(仁川康氏)의 동족마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조읍(助邑)·광신(廣新)·노홍(鷺鴻)·강음(江陰)·백석(白石)·화암(花巖)·전포(典浦)·원산(圓山)·용진(龍津) 등 9개 이가 있다.
[서천면 西泉面]
군의 동북단에 위치한 면. 면적 99.51㎢, 인구 8,28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시변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토산(兎山)의 서가면(西加面)·천동면(泉洞面)·석적면(石積面)의 3개 면이 합쳐져 서천면이 되어 금천군의 관할지역이 되었다.
북동쪽에 설화산·학봉산, 서쪽에 토봉·국사봉 등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전역에 미쳐 대체로 산지가 많고 평지는 적다. 다만 남쪽의 구연천 및 그 지류 유역에 어느 정도 평지가 형성되어 농경지로 이용된다. 논보다 밭이 훨씬 많아 주요 농산물로 콩·보리·조·감자·인삼 등이 생산되고, 부업으로 누에치기를 하는 농가가 많다.
한편, 축우도 성황을 이루어 시변리우시장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시변리장터는 수륙교통의 요지에 있어서 농산물·임산물 및 각종 잡화의 집산지로 유명하며, 군내 5대 시장의 하나로 전국적으로도 충청남도 광천시장과 맞선다.
교통은 시변리를 중심으로 동부의 토산, 동북부의 강원도 이천, 서북부의 신계·남천, 서남부의 금천으로 각각 2등도로·3등도로가 통해 비교적 편리하다. 그러나 북반부는 도로도 적고 험한 고개가 많아 불편하다. 홍기리에 고려 태사 홍은열(洪殷悅)의 묘소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시변(市邊)·이구(0x9745邱)·문빈(聞濱)·하남(下南)·냉정(冷井)·홍묘(洪墓)·유정(楡井)·율(栗)·상사(上舍)·두석(豆石)·봉불(烽佛) 등 11개 이가 있다.
[외류면 外柳面]
군의 동북단에 위치한 면. 면적 58.38㎢, 인구 4,91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석두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토산군의 유촌면(柳村面)과 외현면(外縣面)이 합쳐져 외류면이 되면서 금천군에 편입되었다.
서북쪽에 국사봉·학봉 등의 산줄기가 남북으로 연달아 뻗어 있고, 그 여맥이 동북쪽으로 뻗어 내려 임진강 연변까지 미친다. 그러므로 평지는 임진강 연변에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서북쪽의 산지와 임진강 사이에는 구릉이 형성되어 있고, 도처에 작은 분지가 발달되어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데, 주요 농산물로 콩·조·쌀·보리·밀 등을 경작한다. 대북포리를 중심으로 하는 임진강변에서 품질 좋은 참외·수박 등이 재배되기도 한다. 2등도로가 남부를 동서로 횡단해 시변리와 경기도 연천군에 통하지만 교통은 대체로 불편하다.
마우리의 구연천 위에 우뚝 솟은 용암(龍巖)에는 지방민의 민간신앙과 일화가 담겨 있는데, 오랜 옛날부터 용암점자설(龍巖點子說)이 신앙되었으며 황희(黃喜)도 이 용암에 빌어 탄생했다고 전한다. 문수리에는 유씨(柳氏)와 관계 깊은 문수암(文修庵)이 있고, 전주유씨(全州柳氏)의 동족마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석두(石頭)·문수(文修)·안봉(安鳳)·대북포(大北浦)·소북포(小北浦)·청항(菁項)·실어(實於)·마우(馬友) 등 8개 이가 있다.
[우봉면 牛峰面]
군의 중앙부를 차지하는 면. 면적 124.27㎢, 인구 6,96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송정리이다. 원래 우봉현(牛峰縣)으로, 고구려의 우잠군(牛岑郡)에서 시작되어 신라·고려·조선시대를 거쳐 1651년(효종 2)에 이르러 강음현과 합쳐져 금천군에 속하게 되기까지 1,000여 년간 행정의 중심지였다.
동쪽에 마식령산맥에 속하는 군장산, 남쪽에 경기도 장단군과의 경계에 대둔산 등이 솟아 있고, 그 여맥이 면내로 뻗어 내려 동반부는 일반적으로 산지가 많지만 서반부는 낮은 지대이다. 특히 서쪽에는 구연천이 흐르고 유역에 기름진 평야가 전개된다. 비교적 산악이 많고 경지가 적어 산촌형(散村型) 취락이 형성되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데, 주요 농산물로 벼·콩·조·보리·감자 등을 경작한다. 일부에서는 부업으로 누에를 친다. 경의가도의 외판교(外板橋)에서 갈라지는 3등도로가 남부를 동서로 횡단해 시변리와 강원도 이천에 이르는데, 버스가 운행될 뿐 교통은 일반적으로 불편하다.
원봉리에 있는 대둔산(大屯山)은 높이가 710m로 동남부의 장단군과 군계를 이루며 우뚝 솟아 있다. 산꼭대기의 날카로운 봉우리가 아름다워 사계절 뚜렷한 경관을 지닌다. 산에는 고려 때 창건한 원명사(圓明寺)가 있는데, 황주군 정방산에 있는 성불사(成佛寺)의 말사이다. 본전에는 약사여래상을 봉안하고 있다. 지금의 사우는 1706년(숙종 32)에 수리한 건물로, 구조가 웅장하고 대둔산의 자연경관과 잘 어울려 소풍객들이 즐겨 찾는다.
동쪽의 수룡산(首龍山)에 있는 백계현(白界峴, 일명 白峙)은 우봉 방면에서 경기지방으로 가는 데 반드시 넘어야 할 요새지이다. 우봉리 서쪽의 원명천(圓明川) 하류에는 문무정(文武井)이 있는데, 이곳에서 목욕을 하면 문무장상으로 출세한다는 전설이 있다.
장릉리에서 취암봉(鷲巖峰, 일명 수리비냥산)으로 올라가면 암벽에 천연굴이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물은 약수라 해 널리 알려져 있다. 용성리에 교하노씨(交河盧氏)의 동족마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송정(松亭)·마산(馬山)·장릉(長陵)·묘암(猫巖)·용성(龍城)·장지(長芝)·대오(大烏)·남정(南亭)·원명(圓明)·우봉(牛峰)·삼산(三山) 등 11개 이가 있다.
[웅덕면 雄德面]
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11.39㎢, 인구 6,90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백양리이다. 1941년 호현면(好賢面)과 동화면(冬火面)이 합쳐져 웅덕면이 되었다. 북쪽에 높이 솟아 있는 학봉 외에는 높은 산이 없다.
대부분의 지역이 노년기의 지세를 보이는 화강암질의 구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릉 사이를 구연천이 곡류를 거듭하면서 본류인 예성강으로 들어간다. 예성강 및 구연천의 유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전개되어 면의 주요 생산지대 및 거주지역이 된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데, 주요 농산물은 콩·쌀·보리·밀·조·인삼 등이며 농가부업으로 누에치기를 한다. 남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2등도로가 경의선의 남천역에 이르고 버스가 운행된다. 그 밖에 주요 마을에 이르는 등외도로가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백양리의 덕둔산록(德屯山麓)에 팔인정이 있는데, 8명의 현인이 시를 읊으면서 국사를 논의하던 곳이라고 한다. 매남리에 군위나씨(軍威羅氏)의 동족마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백양(白陽)·신강(新江)·고릉(古陵)·용천(龍川)·고성(古城)·벽파(碧波)·매서(梅西)·법천(法川)·문탄(文灘)·어양(漁陽)·매남(梅南)·봉탄(鳳灘) 등 12개 이가 있다.
[좌면 左面]
군의 북단에 위치한 면. 면적 48.80㎢, 인구 4,15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구성리이다. 원래는 백빈면(白蘋面)이라 했는데 1914년에 좌면으로 개칭되었다. 남쪽에 달봉(達峰, 223m), 동북쪽에 토봉 등이 솟아 있으며, 그 밖의 지역은 작은 구릉이 형성되어 있는 평지이다.
평지의 중앙부를 구연천이 서쪽으로 흘러 유역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전개되며, 토지가 비옥해 각종 농산물의 경작에 적당하다. 쌀보다는 콩·보리·밀·조 등의 밭작물을 많이 재배하며, 농가부업으로 누에치기를 한다. 일부 산지에서는 인삼재배와 목탄제조를 주산업으로 한다.
신계∼시변간의 2등도로가 동부를 통과하고, 시변∼남천역간의 2등도로가 구연천을 따라 서쪽으로 향해 평산군, 또는 경의선의 여러 역에 연결된다. 이들 도로로 버스가 운행되어 교통은 불편하지 않다.
암사리에 행주기씨(幸州奇氏), 북산리에 창녕서씨(昌寧徐氏)의 동족마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구성(龜城)·고산(高山)·장현(墻峴)·암사(巖寺)·백화(白花)·송세(松細)·북산(北山) 등 7개 이가 있다.
[토산면 兎山面]
군의 최동단에 위치한 면. 면적 102.39㎢, 인구 7,099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당관리이다. 고구려 때는 오사함달(烏斯含達)이라 했으며, 신라 경덕왕 때부터 토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1018년(현종 9) 장단현(長湍縣)에 속해 있다가 1062년(문종 16) 개성으로 이속되었으며, 1214년(고종 1) 감무를 두게 되었다.
1413년(태종 13) 현감을 두고 황해도로 이속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토산군이 폐지되고 금천군에 통합되었다. 1938년 월성면(月城面)과 숙인면(宿人面)이 병합되어 토산면이 되었다.
서쪽 합탄면과의 경계에 300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지만, 그 밖의 지역은 대체로 노년기의 구릉성 지대를 이룬다. 동부를 임진강이 남북으로 흘러 연안에는 하성단구(河成段丘)와 소규모의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며, 부업으로 누에치기를 한다. 주요 농산물로 콩·조·보리·밀·쌀·감자·인삼 등이 생산된다.
경기도 의정부∼신계간의 2등도로가 임진강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통과하나 교통이 불편하다. 임진강 연안 각처에는 명승지가 많은데, 특히 삼성대는 높은 절벽에 기암괴석이 즐비한 절경으로 유명하다. 이이와 백인걸(白仁傑)이 자주 이곳을 찾아 산수를 즐겼다고 한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당관(堂官)·상(上)·내(內)·외(外)·부압(浮鴨)·학산(鶴山)·연암(輦巖)·양사(陽寺)·결운(結雲)·두모(頭毛)·세읍(細邑)·장포(長浦)·행정(杏亭) 등 13개 이가 있다.
[합탄면 合灘面]
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73.40㎢, 인구 4,89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매후리이다. 수룡산의 큰 골짜기에서 시작되는 냇물이 합쳐지는 곳이 많아 합탄면이라고 한다. 서남단에 수룡산, 동남단에 이름 없는 300∼400m의 산들이 솟아 있고 이들 여맥이 전역에 미쳐 대체로 산지가 많고 평야는 적다.
수룡산의 한가운데를 지나는 언덕길을 백계현이라고 하는데, 고구려·백제 때는 교통 및 군사적 요지였다. 이 고개를 넘어야 임강(臨江)과 적성(積城)으로 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초기까지 둘레 3,460척, 높이 26척의 돌로 쌓은 성이 있었다고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
북부 구연천의 지류인 두릉천(杜陵川)이 작은 냇물을 모아 북쪽으로 흐르는데, 유역에 소규모의 평지가 형성되어 경작지가 되며 거주지역으로 이용된다. 주요 농산물은 콩·조·보리·밀 등의 잡곡이다. 또 인삼이 대량 산출되는데, 경작면적이 3만 평 이상에 달하며 보통 ‘개성인삼’이라 해 전국에 판매된다.
남부 산악지대에는 잘 정비된 도로는 거의 없고, 다만 북쪽의 구연천과 그 지류를 따라 등외도로가 나 있어 시변리를 통해 각지에 연락된다. 동남부에도 등외도로가 남북으로 통하는데, 금치(金峙)를 이용해 경기도 장단군에 이른다.
유적으로는 수룡산에 송악·우잠의 두 성터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매후(梅後)·송탄(松灘)·도천(桃川)·마전(麻田)·구량(九良)·미산(尾山)·수합(水合)·수원(水源) 등 8개 이가 있다.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군. 북쪽은 평산군·신계군·토산군, 서쪽은 예성강을 사이에 끼고 황해남도 봉천군·배천군, 남쪽은 개성직할시와 접해 있다. 동경 126。22'∼126。39', 북위 38。00'∼38。22'에 위치하며, 면적 454㎢, 인구 10만여 명(1996년 추정)이다.
1945년 광복으로 북위 38。선 이북에 있던 금천군은 소련군의 점령지역이 되었다. 1954년 행정구역 개편시 웅덕면(雄德面) 일부, 평산군 평산면 일부, 개성직할시 북면(北面), 장단군(長湍郡)소남면(小南面) 각 일부와 금천군 금천면·우봉면(牛峰面)·고동면(古東面) 등이 합쳐져 개편되었다.
행정구역은 금천읍과 백양(白陽)·신강(新江)·남정(南亭)·백마(白馬)·용성(龍城)·현내(峴內)·원명(圓明)·월암(月岩)·계정(鷄井)·덕산(德山)·강북(江北)·강남(江南)·양합(兩合)·문명(文明) 등 14개 이로 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금천읍이다.
지형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좁고 긴 방추형(方錘型) 모양을 이루며, 북쪽은 아호비령산맥(阿虎飛嶺山脈)의 한 가닥이 뻗어 내리면서 웅덕산(雄德山, 389m)·대성산으로 뻗어 내리고, 그 사이에 분당고개(130m)라는 횡곡을 이룬다.
동쪽은 아호비령산맥의 또 한 자락의 산맥이 흘러내리면서 군장산(軍長山, 351m)·대둔산(大屯山, 760m)·제석산(帝釋山, 744m)·두석산(豆石山, 415m) 등의 산을 일으키고, 동쪽에는 천마산(天摩山, 762m)을 주봉으로 하는 천마산맥(天摩山脈)이 평행하게 뻗어 내린다.
서쪽은 예성강이 심한 곡류를 그리면서 남류하고, 군의 대부분은 이 강의 연안으로 평야와 구릉지대를 이루며, 구연강(九淵江)·오조천(吾助川)·구수천(九水川)이 예성강에 합류하면서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주요 기반암은 석회암·사암·역암·화강편마암 등이다. 토양은 주로 산림갈색토이며, 땅속에는 유색금속광물과 철·대리석·슬레이트 등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기후는 연평균기온 10.6℃, 1월 평균기온 -8.4℃, 8월 평균기온 25℃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400㎜이다. 황해북도 안에서 서리가 가장 늦게 내린다.
경지는 군면적의 30% 가량인데, 이 중 밭이 59%, 논이 28%, 과수원이 10%, 뽕밭이 3%를 차지한다. 산림은 군면적의 65%를 차지하며 소나무·떡갈나무·이깔나무·잣나무·밤나무 등이 많이 자란다.
예성강 연안에 논이 있으나, 쌀보다 옥수수·조·밀·보리·수수·콩이 중요한 농산물이다. 이 중 콩은 ‘금한대두(金汗大豆)’라 하는데, 금천과 한포(汗浦) 지방에서 나는 콩이라는 뜻이다.
연천(漣川)과 장단(長湍)에서 나는 ‘연장대두(漣長大豆)’와 함께 예로부터 이름 난 명물이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담배와 인삼이 특산물로 유명하고, 양잠도 활발하였다. 금천명주는 금천소와 함께 전국적으로 거래되던 특산물인데, 지금은 이름만 남아 있다.
교통망으로는 서쪽에 경의선(京義線:북한에서는 평부선(平釜線)이라고 함)과 평양·개성고속도로, 1호 국도(목포∼서울∼신의주) 등이 뚫려 있다. 금천을 중심으로 배천·봉천·개성·토산 등을 연결하는 도로가 통해 있고, 예성강은 내륙수로로도 이용된다.
청룡포(靑龍浦)는 이괄의 난 때 충장공 이중로(李重老)가 전사한 곳으로, 충장공을 제사 지내던 민충사의 비석만 남아 있다. 백양리에는 1630년(인조 8) 김문수(金文秀) 등이 놀던 팔인정터[八仁亭址]가 있고, 원명리에는 취암약수(鷲岩藥水)가 있다. 현내리에는 우봉향교(牛峰鄕校)가 있었으나 파괴되어 없어지고, 금천읍에 있던 강음향교(江陰鄕校)도 터만 남아 있다.
대둔산의 북서 사면에 있는 원명사(圓明寺)는 6·25전쟁의 병화를 피해 약사여래불상과 함께 남아 있다. 그네뛰기 할 때 부르는 〈올콩졸콩〉이라는 민요가 지금도 남아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금천남자고등중학교와 금천여자고등중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