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심판가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작품
1850년대 최양업이 천주교 교리교육을 위하여 만든 노랫말.
목차
정의
1850년대 최양업이 천주교 교리교육을 위하여 만든 노랫말.
내용

작자는 신부 최양업(崔良業)이며, 1850년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가사는 세상이 종말을 고한 뒤 육신이 부활하여 영혼과 더불어 공개적으로 받는 공심판을 생각하며 죽음을 예비시키는 내용이다.

즉, 조선 후기의 사회에서 천주교 신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사말론(四末論)』중에서 공심판 부분을 알기 쉬운 대중가사 형식의 4·4조로 풀이한 가사이다.

공심판이란 세상 종말에 모든 인류를 대상으로 그리스도가 행하는 최후의 심판인데, 모든 인간 즉 선한 자나 악한 자, 산 자나 죽은 자를 막론하고 모두가 받아야 하며, 심판의 기준은 사랑의 실천으로 하느님과 이웃을 온 마음을 다하여 사랑하였느냐 아니냐에 따라 의인과 악인으로 구별된다.

선한 자들은 사기지은(四奇之恩: 무손상·광명·신속·투철)을 입어 일체의 속박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없는 사람이 되고, 악한 자의 지옥은 일체의 상태가 단절되어 구속된 상태인데, 가장 큰 괴로움은 신앙의 대상에서 추방당한 처지가 된다는 것이다.

공심판가는 이러한 공심판의 교리를 가르치면서 천주와 모든 성인의 공동체 속에서 사는 천상의 꿈을 감미롭게 묘사하여, 신자들에게 신앙을 굳건히 할 것을 재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독창적인 문학적 작품으로서의 가치는 없을지언정, 조선 후기의 박해받던 신자들에게 용기를 북돋아주어 신앙을 지키게 하는 데 큰 구실을 하였다.

참고문헌

「천주가사의 연구」(김진소, 『한국교회사연구』3, 한국교회사연구소, 1981)
「십계명가와 천주공경가」(하성래, 『신학전망』21∼23, 대건신학대학, 1973)
「서학전래후의 천주가사―사향가 기타에 대하여―」(김동욱, 『인문과학』21, 연세대학교, 196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