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장유가 ()

관동장유가
관동장유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1,600여 구의 장편으로 되어 있으며, 작품의 율조는 다소 조잡한 편이나 그 만큼 사설적이며, 분량은 2음보 1구로 헤아려 1,611구나 되어 현전 금강산계 기행가사 중에서는 가장 길다.

제작연대는 작품 앞부분에서 “기미년 하사월…… 추석 후 제 삼일에 가벼운 행장으로……”라는 내용으로 보아 1859년(철종 10) 기미년으로 짐작된다. 기행의 동기는 관동팔경과 금강산을 찾아다니며 풍류를 즐기기 위함이다.

내용

작품의 구조와 노정은 등정의 동기와 출발을 적은 서사, 목적지까지의 노정, 목적지인 내·외금강산의 구경, 귀로의 여정과 창작 동기를 적은 결사 등 4단계로 짜여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노정이 정선-삼척-두타산-강릉-낙산사-계조굴-신흥사-와선대-청간정-명랑호-고성읍-해금강-삼일포-통천읍-총석정-천도-고성-외금강-내금강-장안사-만천교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다른 금강산계 가사들의 노정과 역순으로 쓰여 있으며, 특히 「삼화사연기설화(三和寺緣起說話)」·「천후산설화(天候山說話)」·「자마석설화(自磨石說話)」등 많은 설화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한국기행문학연구(韓國紀行文學硏究)』(최강현, 일지사,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