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관촉사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논산 관촉사 석등 후측면
논산 관촉사 석등 후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등. 보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등.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45m. 현재 관촉사 앞뜰 원래 위치에 보존되어 있으며 조성연대는 보살입상과 같이 968년(광종 19)으로 추정된다.

이 석등의 하대석은 네모난 측면석 위에 둥근 연화대를 놓았는데, 8판의 복련(覆蓮)은 꽃잎 주위에 좁은 테두리가 있어 신라시대 연판과 다른 점을 보이고 있다.

하대 윗면에는 2단의 굄을 새겨서 간주(竿柱)를 받치고 있는데, 간석(竿石)은 원주형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두 줄의 원대(圓帶)가 마련되었고, 가운데는 세 줄의 원대가 돋을새김되었으며, 중앙부에만 중심의 굵은 원대 위에 네 잎의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을 새겼다.

상대석(上臺石)은 방형이고, 아랫면은 쌍잎 8판의 앙련대(仰蓮臺)가 있고, 그 밑에는 2단의 받침이 새겨져 하대석과 대하고 있다. 상대 윗면에는 높은 굄대를 마련하고 화사석(火舍石: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을 놓았는데, 화사는 2층으로 형성되었으며 상하 방형을 이루었다.

하부인 주화사(主火舍)는 네개의 우주석(隅柱石)만을 세워서 옥개(屋蓋)를 받치도록 하였으므로 화창(火窓)은 면마다 통하게 되었고, 창구는 널찍한데 상부의 화사는 형식적으로 구성되어 전·후면에만 화창을 모각하였다.

네모난 옥개석은 아랫면에 2단의 낮은 받침이 있고, 각 면의 처마는 가볍게 반전하였으며, 네 귀퉁이의 전각부(轉角部)에는 삼산형(三山形)의 귀꽃이 새겨져 더욱 경쾌한 인상을 주고 있다.

낙수면(落水面)은 중후하나 정상부가 좁고, 네 귀퉁이의 합각머리가 뚜렷하면서 처마 끝에 이르러서는 평박(平薄)해졌기 때문에 오히려 가벼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층의 옥개석도 같은 형태로서 전각부에 귀꽃이 새겨지고 처마 끝이 평박하며 상하층의 체감률이 심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다.

옥개석 정상에는 한 개의 돌로 조성한 보주(寶珠)가 놓였는데 그 조각수법은 둔중한 편이며, 각 부에 비하여 간주도 둔중하다.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고려의 석등으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보』7 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4)
「고려(高麗) 광종대(光宗代) 관촉사(灌燭寺)의 창건(創建)과 지방지배(地方支配)」(이광섭, 『사림』 50, 2014)
「高麗 光宗을 보는 또 다른 시각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정성권, 『한국인물사연구』19, 2013)
「논산 관촉사 석등의 훼손도 진단 및 기원암의 성인적 해석」(이명성,이정은,표수희,송치영,이찬희, 『보존과학회지』17,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
「한국의 석등」(진홍섭, 『문화재』2, 1966)
「한국석등목록」(정명호, 『고고미술자료』13, 고고미술동인회, 1965)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