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법사 ()

목차
관련 정보
평양 광법사 전경
평양 광법사 전경
불교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사찰.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사찰.
내용

고려시대에 창건됐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나옹(懶翁)이 원나라에서 인도 스님 지공(指空)으로부터 법을 전해 받고 1358년(공민왕 7) 귀국하여 이 절에 머물렀다.

당시 원나라 황제는 금자화엄경첩(金字華嚴經帖)과 금강저 한 쌍을 하사하여 이 절에 두었다고 한다. 1667년(현종 8)에 세워진 사적비에는 대성산에 수십 개의 절이 있는데, 그 중 이 절이 가장 컸다고 나와 있다.

1700년(숙종 26) 무렵 천왕문과 해탈문이 소실했으나, 1727년(영조 3) 복구했다. 그 뒤 동봉 욱일(東峰 旭日)이 이 절에서 김영유(金永濡), 박철손(朴哲孫)과 함께 시를 짓고 노닐었다. 일제강점기의 31본산시대에는 영명사(永明寺)의 말사였다.

1950년 6.25 때 대부분 파괴되었으나, 1990년 대웅전은 복구되었다. 현재 북한 불교계의 총본산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건물로는 대웅전 등이 있으며, 유물로는 대웅전 앞에 팔각오층석탑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옮겨 온 것이라고 한다. 팔각오층석탑은 북한의 국보급 제185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북한사찰연구(北韓寺刹硏究)』(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이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