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광산 ()

목차
산업
지명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사곡리에 있었던 금 · 은 광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사곡리에 있었던 금 · 은 광산.
내용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智異山片麻岩複合體) 중 화강암질편마암(花崗巖質片麻岩)·반상변정질편마암(斑狀變晶質片麻岩) 및 혼성편마암(混成片麻岩)으로 구성된 변성암과 경상계(慶尙系) 하부낙동층군(下部洛東層群, 쥐라기)의 암회색 내지 담회색의 사암(砂岩), 셰일과 후기에 이들을 관입한 섬록암(閃綠岩) 및 황반암(煌斑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상(鑛床)은 전라남도 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편마암 중에 금과 은을 함유한 석영맥(石英脈)이 관입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N20-50E의 주향(走向)과 70-80SE의 경사를 가지는 열극(裂隙)을 따라서 충전(充塡)한 함금은석영맥으로 열수광상(熱水鑛床)이다. 맥의 너비는 0.15∼0.4m로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맥이 모여 맥군(脈群)을 형성한다.

이 광산은 크게 초남(草南)·본정·억만의 3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1929년에는 종업원 860명에 달하는 대광산이었으나, 그 뒤 규모가 격감하여 1970년대에 폐광되었다. 광업권자는 광양산업주식회사(光陽産業株式會社)이며, 1961년 8월 건립된 70T/D의 처리용량을 가진 선광장(選鑛場)이 있었다.

휴·폐업하는 광산이 늘고 있는데 이는 금광자원의 고갈에 그 원인이 있다기 보다는 점진적인 채굴조건의 심부화에 따른 생산원가의 상승과 탐광부진으로 인한 신규광산의 확보부족 및 이에 따른 투자안정성의 결여로 인한 투자기피현상 등 여러 가지 불리한 요인들이 복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의 광업현황』(상공부, 1973)
『광상시추조사보고』 제8호(대한광업진흥공사, 1985)
『광업요람』(대한광업진흥공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