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유정리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광주 유정리 석불좌상
광주 유정리 석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광주유정리석불좌상(廣州柳井里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9월 03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도척로699번길 47-8 (도척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불상.
내용

1979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재 유정리의 부락수호신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이 석불좌상은 근처에 사지(寺址)로 추정할 만한 흔적이 전혀 없어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있는 이 석불좌상은 현재 광배, 대좌를 잃었으며, 머리를 제외한 불상 전면에 호분이 발라져 있다.

세부의 표현을 살펴보면, 신체에 비해 머리가 유난히 크며, 넓적한 방형(方形)의 얼굴에 이마가 넓직하다.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는 팽이모양의 육계(肉髻)가 있는데, 육계의 꼭대기에는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육계와 머리 사이에는 중심계주(中心髻珠)가 표현되어 있다. 귀는 길어 어깨에 이르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다.

둥근 어깨에는 통견(通肩)의 불의가 걸쳐졌는데 불의(佛衣)의 두께가 두꺼워 신체의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가슴부터 팔 위로 펼져진 등간격의 옷주름은 각선(刻線)이 둔탁하여 투박할 뿐만 아니라 매우 도식적이다.

양 무릎의 폭 역시 상체에 비해 유난히 좁을 뿐더러 선정인(禪定印)을 취하고 있는 손도 매우 작게 표현되어 있어 신체가 더욱 왜소하고 빈약한 느낌을 준다.

세련되지 못한 치졸한 조각수법, 표정이 없는 방형의 얼굴에 머리가 크고 무릎, 손 등이 작아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는 신체구조, 두터운 불의 등에서 조선시대 지방양식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경기도문화재대관』-경기도지정편-(경기도, 199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