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 마애보살상 ( )

목차
관련 정보
문수산 마애보살상
문수산 마애보살상
조각
유적
문화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마애불. 보살상.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마애불. 보살상.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8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높이 각 2.7m. 문수산 정상 가까이에는 절터의 건물지로 추정되는 장소가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능선을 따라 50m가량 더 올라가면 마애보살입상 2구가 있다.

마애보살입상은 높이가 약 3.5m 정도 되는 두 개의 암벽에 각 1구씩 양각(陽刻)으로 새겼는데 서로 대칭을 이룬다. 이 가운데 좌측[向左]의 보살상은 우측[向右]의 보살상에 비해 조각의 높이가 낮으며, 선각(線刻)으로 새겨 형태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우선 좌측 보살상의 세부 표현을 살펴보면, 머리에 보관(寶冠)을 썼을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형태가 분명하지 않다. 그 아래 네모난 얼굴에는 긴 눈과 코, 입이 비교적 단정한 모습이다.

목은 짧아 어깨와 거의 붙었지만 굵은 삼도(三道)가 있고, 직각에 가까운 어깨 위에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았다. 오른손은 옆으로 내려 자연스럽게 펴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가슴까지 올리고 있다. 양 팔목에는 팔찌가 있으며 잘록한 허리에는 치마인 군(裙)의 띠 매듭이 보인다.

우측의 보살상은 좌측 보살상과 서로 대칭이다. 다만 얼굴 부분이 좌측에 비해 높게 조각되어 있어 양감(量感)이 돋보인다는 점, 보관을 쓰지 않고 소발(素髮)로 표현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마치 부은 듯한 눈은 귀에 닿을 듯이 양옆으로 길다. 그리고 눈썹에서부터 코에 이르기까지는 활 모양의 선으로 이어져 있다. 적당한 크기의 입술에는 입가에 미소를 머금고 있다. 상체에는 역시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있다. 치마 역시 좌측의 보살상과 동일하여 두 보살상은 같은 시기, 같은 조각가에 의해 조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보살상은 소박하고 정감 넘치는 얼굴 모습과 굴곡진 허리 등의 표현이 돋보인다. 신체에 비해 머리와 손, 발이 다소 크고 신체 각 부분의 표현에서 도식화가 엿보이는 점 등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이처럼 주존불(主尊佛)이 없이 보살상 2구 만을 서로 대칭으로 새기고 있는 경우는 드문 예로 원래 중앙에 입체의 불상이 조성되어 있었는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참고문헌

『경기도문화재대관』경기도지정편(경기도, 1990)
「기내사원지」(『경기도유적조사보고서』, 경기도, 198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임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