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사 마애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강화 보문사 마애석불좌상
강화 보문사 마애석불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보문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조성된 높이 9.7m의 마애불.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문사 마애석불좌상(普門寺 磨崖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5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남로828번길 44 (삼산면) 보문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보문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조성된 높이 9.7m의 마애불.
내용

높이 9.7m. 199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눈썹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바위에 조각한 마애 조각이다.

이 보살상은 얼굴에서 대좌까지 입체감이나 양감(量感)이 거의 표현되지 않은 도식적이고 평판적인 조각 수법을 보이고 있다. 신체 비례는 몸에 비하여 얼굴이 지나치게 크고 하체로 갈수록 왜소한 구조를 나타낸다.

머리에는 커다란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관 가운데는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다. 얼굴은 풍만하여 사각형에 가까우며 귀는 길어 어깨에 이른다.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있으며 초승달 모양의 눈썹에 수평으로 길쭉한 두 눈은 눈꼬리가 약간 위로 올라갔다.

코는 뭉툭하고 길쭉하여 전반적으로 엄숙하고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목은 짧아 어깨와 붙어 있는데 가늘게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굵은 어깨는 안으로 움츠리고 있다.

불상의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와 같은 모양의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어깨와 손목 부근에 대칭적으로 평판적인 주름선이 조각되었다. 가슴에는 卍자가 큼직하게 새겨져 있으며 그 아래로는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양손 모두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오른손은 밑으로 왼손을 위로하여 포개었다. 하체는 결가부좌(結跏趺坐)하여 왼발이 앞으로 오고 있으며 형태를 알 수 없을 만큼 간략화되어 있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광배(光背)는 머리를 감싼 두광(頭光)과 몸을 감싼 신광(身光)을 따로 갖췄다.

두광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 새겨져 있고, 신광에는 가느다란 선각(線刻)으로 불꽃무늬를 가득 새겼다. 대좌는 연꽃잎이 각각 위로 향한 앙련(仰蓮)과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을 연결한 모양이다.

이 마애보살은 1921년 표훈사(表訓寺)의 스님 이화응(李華應)이 당시 보문사 주지인 배선주(裵善周)와 함께 조각하였다고 전한다.

도식적인 면이 강하여 조각 그 자체의 예술성을 따지기는 어렵지만 전통 양식에서 벗어나 일제 강점기인 20세기 초반의 변화되는 근대 불상 조각 양식을 나타내 주는 작품으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경기도유적조사보고서』 -기내사원지-(경기도, 198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