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충효동 고인돌 ( 고인돌)

선사문화
유적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칭
이칭
광주 충효동 지석묘
속칭
광주 충효동 성안 고인돌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정면 너비
2호 288㎝|7호 320㎝
측면 길이
2호 327㎝|7호 410㎝
높이
7호 120㎝
재질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내용 요약

광주(光州) 충효동(忠孝洞) 고인돌은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다. ‘광주 충효동 성안 고인돌’이라고 하기도 한다. 7기의 고인돌이 동서 방향으로 분포하는데, 1977년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그 중 6기를 발굴 조사하였다. 덮개돌은 11~28톤 정도이며, 모두 받침돌이 있는 남방식이다. 민무늬토기 조각, 붉은간토기 조각, 돌살촉, 숫돌 등 3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발굴경위 및 결과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있는 고인돌로, ‘광주 충효동 성안 고인돌’이라고 하기도 한다. 고인돌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담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창계천 주변에 형성된 충적 평지에 7기가 동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광주댐 건설로 인해 1977년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7기 중 6기의 고인돌을 발굴 조사하였다. 주1은 현지에 남아 있는데, 광주댐 수위가 높아지면 덮개돌들이 물에 잠겼다.

형태와 특징

고인돌의 덮개돌과 돌널의 장축 방향은 모두 동서이다. 덮개돌은 무게가 11~28톤 정도이며, 석질은 화강암과 안산암이어서 인근의 무등산 산록에서 채석한 것으로 추정된다. 6기의 고인돌은 모두 받침돌이 확인되는 남방식이다. 축조 방법은 2호와 7호 고인돌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2호 고인돌의 덮개돌은 평면 타원형이며 크기는 길이 327㎝, 너비 288㎝, 두께 150㎝이고, 무게는 27톤 정도로 광주 충효동 고인돌 중에서 가장 크다. 덮개돌은 60~100㎝ 정도의 받침돌 5개가 원형으로 돌아가면서 받치고 있으며, 받침돌 사이에는 작은 냇돌들이 놓여 있었다. 받침돌 바깥쪽으로는 길이 · 너비 30㎝, 두께 10㎝ 정도의 냇돌들이 너비 100㎝ 정도의 원형으로 깔려 있는데, 동남쪽은 경작으로 인해 파괴되었다.

7호 고인돌의 덮개돌은 평면 타원형이며, 크기는 길이 410㎝, 너비 320㎝, 높이 120㎝이고, 무게는 23톤 정도이다. 덮개돌 아래에서는 깬돌과 냇돌이 장방형으로 깔린 돌무지 부분이 확인되었는데, 규모는 길이 350㎝, 너비 300㎝이다. 받침돌은 4개가 확인된다.

돌널 2기가 나란하게 확인되어서 부부 같은 가까운 혈연관계의 피장자를 합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례들은 나주판촌리지석묘군, 대구 진천동 고인돌 등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고인돌 사회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고인돌 사회를 계급이 발생한 사회로 보기도 한다.

의의 및 평가

발굴 조사된 6기의 고인돌에서는 주2 조각, 주3 조각, 돌살촉, 숫돌 등 30여 점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토기들은 돌널 안보다는 돌널 주위나 돌무지 사이에서 발견되어서 돌무지를 한 후에 일종의 의례 행위로 토기를 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자는 고인돌의 형식과 축조 방법, 출토 유물로 보아 연대를 서기전 2세기에서 서기전 1세기로 추정하였지만,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하기는 어려우므로 청동기시대부터 초기 철기시대까지로 폭넓게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최몽룡, 『광주 송암동주거지 · 충효동지석묘』(전남대학교박물관, 1979)
주석
주1

고인돌에서 굄돌이나 받침돌 위에 올려진 큰 돌. 북방식에서는 돌방의 천장을 이루며, 남방식에서는 아래 구조를 보호한다.    우리말샘

주2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3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土器).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