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운대리 고인돌 ( 고인돌)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이칭
이칭
고흥 운대리 지석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정면 너비
130㎝
측면 길이
285㎝
재질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내용 요약

고흥(高興) 운대리(雲袋里) 고인돌은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이다.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4기의 고인돌이 발굴되었지만,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고인돌 부근에서 돌널이 조사되었는데, 비파형동검 조각이 출토되었다. 1999년에는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운대리 중대마을 입구에 있는 고인돌 24기를 발굴 조사하였는데, 13호 고인돌에서 비파형동검이 출토되었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발굴경위 및 결과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일대에는 고인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6년 주민에 의해 제거된 주1 아래에서 간돌검이 발견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고인돌은 산기슭 아래 평지에 32기가 있었는데, 그중 4기를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와 사와 슌이치〔澤俊一〕가 발굴하였다. 덮개돌 아래에서 깬돌로 쌓아 만든 돌널이 확인되었지만,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형태와 특징

돌널은 단벽 1매, 장벽 5매의 널돌을 세워 축조하였으며, 바닥에는 널돌을 깔았다. 크기는 길이 285㎝, 너비 130㎝, 깊이 40㎝라고 하였는데, 주변을 포함한 크기로 생각된다. 돌널 중앙부 단벽 아래쪽에 치우쳐 주2 조각이 출토되었다. 비파형동검은 주3와 칼 몸 하단 일부만 남아 있으며, 크기는 길이 13㎝이다. 슴베 한쪽에는 홈이 파여 있다.

운대리 중대마을 입구에도 고인돌들이 있었는데, 고흥-벌교 간 국도 27호선 확 · 포장공사 구간에 포함되어 1999년 국립광주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고인돌은 마을 진입로 양쪽에 분포하고 있었다. 모두 24기가 조사되었으며, 19기에서 돌널이 확인되었다. 비파형동검, 간돌검, 돌칼, 천하석제 꾸밈구슬, 주4 등이 출토되었다. 비파형동검은 13호 고인돌에서 출토되었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310㎝, 너비 237㎝, 두께 73㎝이고, 무게는 8톤이다. 돌널의 크기는 길이 210㎝, 너비 72㎝, 깊이 65㎝이다. 비파형동검은 주로 슴베와 주5만 남아 있으며, 슴베에는 홈이 파여 있다. 출토 상태로 보아 피장자의 오른쪽 허리쯤에 부장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크기는 전체 길이 17.4㎝, 칼 몸 길이 13.2㎝, 슴베 길이 4.2㎝이다.

의의 및 평가

고흥 운대리 고인돌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고인돌이며, 비파형동검이 처음으로 출토된 고인돌이다. 운대리 중대마을 입구에 있는 고인돌에서도 비파형동검이 출토되었다. 슴베에 홈이 있는 비파형동검은 부여송국리고분, 여수 적량동 고인돌, 여수 월내동 고인돌, 창원 진동리 유적 등에서도 출토되었다. 연대는 서기전 8세기에서 서기전 4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현종, 신상효, 선재명, 윤효남, 『고흥 운대 · 안치 지석묘』(국립광주박물관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03)
三上次男, 『滿鮮原始墳墓の硏究』(東京: 吉川弘文館, 1961)
有光敎一, 『朝鮮磨製石劍の硏究』(京都: 考古學談話會, 京都大學文學部考古學叢書 第2冊, 1959)
주석
주1

고인돌에서 굄돌이나 받침돌 위에 올려진 큰 돌. 북방식에서는 돌방의 천장을 이루며, 남방식에서는 아래 구조를 보호한다.    우리말샘

주2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비파 모양의 동검. 중국 랴오닝성ㆍ만주ㆍ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3

칼, 괭이, 호미 따위의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우리말샘

주4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土器).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5

검의 밑동에서 첫째 마디 사이 부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