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덩식 고분 (구덩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지하에 토광을 파고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 토광묘.
이칭
이칭
수혈식고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하에 토광을 파고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용어. 토광묘.
내용

‘수혈식고분(竪穴式古墳)’이라고도 한다. 구덩식 고분’이라는 말은 굴식(횡혈식)고분에 대한 말이기는 하나 고분의 발생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원초의 분묘는 모두 수혈식이라고 할 수 있다. 지하에 토광을 파고 매장하는 모든 형식이 수혈식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일단 토광을 파고 다른 재료를 사용해 토광의 내벽에 대는 시설, 즉 목재를 재료로 하는 목곽, 돌을 재료로 하는 석관 또는 석실, 전(塼)을 재료로 하는 전곽 또는 전실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 토광은 가장 원시적인 구조로 되어 있고 모든 형식의 시초가 된다는 의미에서 인류가 거주하는 모든 지역에서 거의 자생적으로 발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분묘의 발생은 바로 이 토광의 발생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반도의 토광은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토광을 얕게 판 것으로 고유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같은 방법으로 광을 만들기는 하나 규모가 크고 광을 길게 파는 것이 다르다. 이 형식은 황하(黃河)유역의 중원지방에서 발달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들 토광은 기본 묘제(墓制)로서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존속시기도 현대까지 면면히 계속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전 기간 중 가장 두드러진 규모로 발달한 고분문화(古墳文化)는 청동기시대 후기문화, 즉 대동강유역지방에서 많이 발견된 바 있다. 그리고 낙동강유역의 영천·경주·울산지방, 영산강유역의 화순 등지에서도 발견, 조사된 바 있는 석곽묘(石槨墓)가 있다.

삼국시대에 토광은 서민용 외에는 별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와서는 다른 시대보다 발달된 토광이 유행하였다. 예를 들면, 질이 뛰어난 청자(靑磁)를 내는 고분 중에는 토광의 종류도 많이 섞여 있다고 생각된다. 조선시대 이후 현대까지는 중국의 토광형식과 같이 이단식(二段式)의 토광을 파는데, 내부의 깊은 토광에 시체 또는 목관(木棺)을 매장한다.

돌을 재료로 한 수혈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청동기문화에서 흔히 발견되는 형식이고, 또 하나는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한 형식이다. 모두 토광을 파고 광벽에 대어서 깬돌[割石]이나 냇돌[川石]을 사용해 내벽을 쌓는 구조이다.

청동기시대의 수혈은 장방형 석곽의 길이가 2m 미만이 많으나, 깊이는 1m 이상 2m 가까운 깊은 곳에 축조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충청남도 예산군 동서리, 아산군 남성리, 부여군 연화리, 대전시 괴정동 등지에서 발견된 것들이 있다. 이 구조형식은 요령(遼寧)지방의 요하(遼河)·대릉하(大凌河)유역지방에서 주대(周代) 이후 발달한 형식이 한반도에 들어온 듯하다.

삼국시대에 들어와서도 소형의 석곽들이 경주, 낙동강유역, 부여 등지에서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전대인 청동기시대의 수혈식인 석곽에 비해 깊이가 얕은 것이 특징이다. 이 구조형식은 고려시대에도 많이 축조되었다. 가령, 강화도 외포리에서 조사된 것과 같은 형식은 좋은 예에 속한다.

또 하나의 돌로 만든 수혈식은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가야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특징은 청동기시대의 석조수혈식에 비해 광과 석실의 길이가 길어져서 어떤 것은 4m, 또는 6m, 8m 등의 세장(細長)한 것도 많이 섞여 있다. 그러나 깊이는 길이 등 규모에 비해 얕아져 2m 미만이 일반적이다.

이들 세장형석실의 원류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압록강 중류의 적석총(積石塚)의 내부구조로서, 적석총문화와 함께 남하해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양쯔강유역에서 토돈묘(土墩墓)의 내부구조로서의 석실문화가 황해를 건너와서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견해이다. 어떤 경우로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아무튼 세장형석실은 일본열도에 건너가서 4, 5세기에 크게 유행한 것만은 사실로 인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혈식고분이라고 하면 이 세장형석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같은 돌을 재료로 해 축조된 횡혈식석실(橫穴式石室)에 대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구조는 수혈식으로 되어 있어도 목곽·전곽 구조를 가진 것은 수혈식고분의 개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문헌

「수혈식묘제의 연구」(김세기, 『한국고고학보』 17·18, 1985)
「長方形石室の系統に關する試論」(姜仁求, 『岡崎敬敎授退官記念論叢』, 1987)
집필자
강인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