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선전 ()

목차
관련 정보
권용셩젼
권용셩젼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수매청심록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책. 국문필사본 2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문활자본으로는 1918년에 나온 신구서림본(新舊書林本)을 비롯하여 세창서관본 등이 있다.

이 작품과 비슷한 내용을 갖추고 있으면서 ‘수매청심록(樹梅淸心錄)’이라는 표제가 붙여진 이본도 10여 종이 전해지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겉표지에는 ‘슈마쳥심록’이라 써 있으나, 안에는 ‘쥬ᇰ빅젼’이라는 표제를 붙여놓은 작품도 1종이 있다.

이 작품은 사랑하는 남녀주인공이 여러 가지 시련을 극복하고 결합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애정소설이다.

명나라 때에 한주땅에 사는 권승상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셋째 아들인 권용선은 일찍이 장원급제하여 이름을 떨쳤으나, 부인 김소저와는 화합하지 못하였다. 김소저가 요절하였으나 권용선은 재혼하기를 꺼려하였다. 권승상은 죽고 권씨 형제는 모두 벼슬에 오른다.

권용선의 숙부인 권시랑의 부인 오씨에게는 오빠인 오상서가 있었다. 오상서는 간신의 해를 입어서 산동땅에 살고 있었는데, 만년에 신선이 진주를 주는 꿈을 꾸고 딸을 얻었다. 오소저의 모친은 일찍이 죽고 나서 부친인 오상서마저 죽게 되었다.

오상서가 죽으면서 오소저를 매부(妹夫)인 권시랑에게 부탁하였고, 권시랑 부부는 오소저를 친딸같이 사랑하며 길렀다. 이 때 강서지방에 도적이 일어나 권용선이 순무사(巡撫使)가 되어 민심을 수습하였다.

하루는 오상서가 꿈에 나타나 권용선이 자기 딸인 오소저와 인연이 있다고 일러준다. 권용선은 숙부 권시랑의 집에 찾아가 오소저를 보고 연정을 품게 된다. 귀경하여 벼슬이 오른 권용선은 오소저의 나이가 어려서 혼인은 못하나 자주 오소저를 찾아가니, 이를 눈치챈 권시랑 부부가 주선하여 두 사람은 정혼한다.

한편, 주태후의 딸 영희공주는 권용선을 우연히 보고 사모하게 되어, 황제를 움직여 권용선이 자기와 혼인하라는 명을 내리게 한다. 이 소식을 들은 권용선과 오소저는 상심하지만, 영희공주와 성례하기 전에 두 사람은 몰래 혼례를 치른다.

그 뒤 영희공주와도 혼인한 권용선은 남같이 지내면서 오소저만을 생각하니, 영희공주는 권씨 형제들과 권시랑을 옥에 가두고 간신 주승상과 모의하여 권용선을 외국에 사신으로 보낸다. 그 사이에 오소저를 잡아 노나라 세자의 후궁으로 보낸다.

노나라로 가는 도중에 오소저는 남강에 빠져 죽으려고 하나 시비 쌍섬이 대신하여 죽고, 오소저는 형주땅으로 피신한다. 사신의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권용선은 오소저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피를 토할 정도로 상심한다. 주승상이 보낸 자객을 물리친 권용선은 꿈에 계시를 받고 오소저가 있는 형주로 갔으나, 오소저는 쉽게 만나주지 않으려 한다.

이에 상심한 권용선은 병이 들어 위태한 지경에 이르게 되는데, 이를 알게 된 오소저가 마음을 돌려 두 사람은 재회하고 부부의 정을 나눈다. 태자의 도움을 받아 권용선이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그간의 사정을 알리자, 주승상은 삭탈관직당하고, 주태후도 노환으로 죽는다. 병부상서가 된 권용선은 오소저를 첫째 부인으로, 영희공주를 둘째 부인으로 삼아 화락하게 지낸다.

이 작품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천상인의 하강이라는 설정이 약화되었고, 주인공들의 비범한 행위보다는 일상적인 면모가 부각되고 있어서, 상당히 사실적인 경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건 전개 자체에서 나오는 흥미보다는 주인공들의 절실한 심정을 관심의 대상으로 삼아, 꿈에 의한 계시와 같은 우연적인 사건의 전기가 나름대로의 필연성을 갖추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이 작품은 이원적 구조를 갖춘 소설에서 일원적 구조를 갖춘 소설로 나아가는 과정에 놓인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내면심사가 확대 서술된 만큼 개성적인 인물을 창출할 수 있었고, 생동감 있는 표현도 적절하게 구사되었다. 이 작품에서는 애정성취를 통한 인간적 성숙에 진정한 영웅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바람직한 새로운 인간상이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