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록 ()

목차
관련 정보
기축록
기축록
조선시대사
문헌
기축옥사의 전말에 대한 기록 및 문서를 편집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기축옥사의 전말에 대한 기록 및 문서를 편집한 역사서.
내용

2권 1책. 필사본. 편자와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조선고서간행회본과 『연려실기술』 문예전고(文藝典故)에는 황혁(黃赫)이 편찬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축록』의 내용에 황혁보다 후대의 인물인 허목(許穆)의 글이 수록되어 있어 타당하지 않은 것 같다.

상권은 먼저 『기축록』의 전말을 이수광(李睟光)·허욱(許頊) 및 최영경(崔永慶)·정개청(鄭介淸)의 문인들의 기록을 참고해 기록하였다.

이어서 1590년 강견(姜涀)의 상소문, 최영경의 옥중시기록(獄中時記錄)과 그의 전·행장·비문 및 이가소승(李家小乘), 백유양(白惟讓)의 유사(遺事), 백진민(白振民)의 옥중자명소(獄中自明疏), 유몽정(柳夢井)에 관한 비망기(備忘記)와 그의 아들 유호(柳滸)의 상소문 등을 수록하였다.

하권에는 정개청의 행장과 허목이 지은 「곤재전(困齋傳)」 및 『우득록(愚得錄)』의 서문을 전재하였다.

이어서 정개청의 저술인 「동한절의진송청담설서(東漢節義晉宋淸談說序)」 및 정개청의 초초(初招)·재초(再招)·옥중 상소문과 정암수(丁巖壽) 등 사류의 상소문, 나덕윤(羅德潤)·배명(裵蓂) 등의 상소, 유성룡(柳成龍)의 계사 등 정개청이 사건에 연루되는 전말과 그의 신원을 청한 상소문 10여 종 등을 수록하였다.

상권에는 대체로 최영경에 관한 내용이 많고, 하권은 정개청에 관한 기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동인의 입장에서 편집한 책으로 여겨지지만 정철(鄭澈)·성혼(成渾) 등 서인에 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기축옥사와 그 뒤 동인과 서인의 세력 소장에 따르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동야승』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