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굉 ()

개암문집
개암문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대사간, 대사성, 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부(敬夫)
개암(開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4년(중종 19)
사망 연도
1590년(선조 23)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성주(星州)
주요 관직
대사간|대사성|승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대사간, 대사성, 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경부(敬夫), 호는 개암(開岩). 경상북도 성주 출신. 김종혁(金從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도승지 김치정(金致精)이고, 아버지는 부사 김희삼(金希參)이며, 어머니는 청주곽씨(淸州郭氏)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2년(중종 37) 향시에 수석 합격하고, 1552년(명종 7) 진사시에도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1565년 경상도 유생을 대표해 여덟 차례에 걸쳐 중 보우(普雨)의 주살을 상소하였다. 이듬해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그 뒤 주서(注書)·대교(待敎)·봉교(奉敎)·전적(典籍), 예조와 병조의 좌랑·정랑, 지제교(知製敎)·정언(正言)·헌납(獻納)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지내다가 1573년(선조 6) 부수찬(副修撰)이 되었다. 1578년 사복시정(司僕寺正)을 거쳐 동부승지·대사간·대사성 등을 지내고 이듬해 병조참의·승지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수(李銖)의 옥사로 곧 파직되었다. 1582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가 형조참의·장례원판결사·홍문관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유생 박제(朴濟)로부터 음흉하다는 탄핵을 받아 외직으로 물러나 청송부사·광주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다.

1589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성주로 돌아갔다. 그 해에 동생 김우옹(金宇顒)이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연좌되어 안동의 임지에서 회령으로 귀양가자, 영천으로 달려가 동생을 만나 갓과 옷을 벗어주고 시 한 수를 지어 주며 이별했다 한다.

대사간으로 있을 때 사사로이 옥송(獄訟)을 결정한 형조판서를 당당히 탄핵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상주 속수서원(涑水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개암집(開巖集)』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창석유고(蒼石遺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석담일기(石潭日記)』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