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행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교서관 서리를 지낸 경아전 출신으로, 『삼류재유고』를 저술한 여항시인.
이칭
삼류재(三留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김해(金海)
주요 저서
삼류재유고(三留齋遺稿)
주요 관직
교서관 서리|사문차사
내용 요약

김의행은 조선 후기 교서관 서리를 지낸 경아전 출신으로 『삼류재유고』를 저술한 여항시인이다. 영조·정조대에 여항시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8세기 후반 경아전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구로회(九老會) 시사 활동에 부친 김순간을 따라 참여하였다. 저서로 『삼류재유고(三留齋遺稿)』가 있다.

정의
조선 후기 교서관 서리를 지낸 경아전 출신으로, 『삼류재유고』를 저술한 여항시인.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의행(金義行)의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삼류재(三留齋)이다. 아버지는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를 지낸 시한재(是閒齋) 김순간(金順侃)이며, 동생은 규장각 주1 용재(庸齋) 김의현(金義鉉)이다. 본인은 주2 서리를 지냈다. 아버지 김순간의 전처는 달성서씨이고 후처는 밀양박씨인데, 김의행은 전처 소생이고 김의현은 후처 소생이다. 김의행의 고조할아버지는 김수헐(金守歇), 증조할아버지는 김두성(金斗星), 할아버지는 김시주(金時柱)이다. 아버지 김순간은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에 소개되어 있다.

주요 활동

경아전 출신으로, 영 · 정조대에 주3으로 활동하였다. 범경문(范慶文)과 같은 여항시인과 교류하였으며, 18세기 후반 경아전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구로회(九老會) 주4 활동에 아버지 김순간을 따라 참여하였다.

김순간은 비변사 서리 최윤창(崔潤昌), 승문원(承文院) 서리 마성린(馬聖麟), 이효원 등으로 구성된 구로회 회원들과 친밀하게 지냈으며, 자신의 집 시한재로 이들을 초청해 주5를 개최하였다. 이때 금객 이휘선, 가객 김시경, 화원 윤숙관이 함께 참여하여 이날의 모임을 그림으로 남긴 바 있다. 이러한 인연으로 김의행 형제는 구로회 회원들 또는 그의 자제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게 되었다.

학문과 저술

저술로 『삼류재유고(三留齋遺稿)』 1책이 전하는데, 서 · 발문이 없는 필사본 형태로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231수의 시와 산문 약간 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회 활동과 관련한 창작이 많이 보인다. 아버지 김순간은 구로회 회원들과 모암(帽巖)에서 시회를 열고 그림으로 남겼고, 김의행은 이 그림에 발문을 쓴 바 있는데 문집에 수록된 「근지청유첩후(謹識淸遊帖後)」가 이 글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원전

『모암시회도(帽巖詩會圖)』
『삼류재유고(三留齋遺稿)』

논문

전민경, 「모암시회도에 대하여」(『한국한문학연구』 64, 한국한문학회, 2016)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문서의 기록과 관리를 맡아보던 하급의 구실아치.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경서(經書)의 인쇄나 교정, 향축(香祝), 인전(印篆)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창설한 교서감을 태종 원년(1401)에 고친 것이며, 정조 6년(1782)에 규장각에 편입되었다.    우리말샘

주3

조선 후기에, 위항 문학을 이룬 시인. 대표 인물로는 임준원(林俊元), 정내교(鄭來僑), 이언진(李彦眞) 등이 있다.    우리말샘

주4

시인들이 조직한 문학적 단체.    우리말샘

주5

시인이나 시의 애호가들이 시를 짓거나 시에 대하여 토론ㆍ감상ㆍ연구하기 위하여 모인 모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