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 ()

근대사
인물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성필(成弼)
일강(一江)
아명
김영탁(金永鐸)
이명
김중청(金重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6년
사망 연도
1934년
본관
영산(永山)
출생지
전라남도 함평군
주요 경력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육군무관학교 교관|상해대한교민단장|대한민국임시정부 외무총장 및 법무장|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집행위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2)
내용 요약

김철은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상하이에 망명하여 신한청년당을 창립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할 때 핵심 역할을 하였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을 두루 거치며 활동하였고, 한국독립당 창당에도 관여하였다.

정의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사항

김철(金澈, 1886~1934)은 전라남도 함평군 출신으로, 본관은 영산(永山), 자는 성필(成弼), 호는 일강(一江)이다. 어릴 때 이름은 김영탁(金永鐸), 이명은 김중청(金重淸)이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운 후 영광에 있는 광흥학교에서 공부하였다.

주요 활동

1909년에 법관양성소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일본으로 유학하여 주1을 졸업하고 1915년에 귀국하였다. 1917년에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1918년 주2 창립에 참여하였다. 잠시 고향으로 돌아와 재산을 처분하고 상하이로 돌아갔다. 1920년 7월에 열린 주3에서 신한청년당 대표로 국내에 파견되어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는 이유로 5년형을 선고받았다.

1919년 3월부터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준비에 가담하였다. 그해 4월 10일 밤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이 되어 4월 11일 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하는 데 한 축을 담당하였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재무부 위원, 교통차장, 지방선전부 부총판 등을 역임하고, 1920년 5월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직할로 설립된 육군무관학교 교관에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이외에 대한적십자회에서 활동하였고, 특히 상해대한교민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21년 9월 상해대한교민단 본구(本區) 임원이 된 이래, 1932년 윤봉길 의거로 항저우〔杭州〕로 피신할 때까지 꾸준히 활동하였다. 1922년 3월부터 8월까지는 교민단장으로 활약하였다.

1923년 1월에 시작된 국민대표회의에 전라남도 대표로 참석하여 개조파의 입장에서 헌법기초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25년 박은식이 제2대 대통령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 내각에서 외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26년 김구 국무령 체제가 수립되면서 법무장으로 선임되었다. 1927년에는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집행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29년 11월 김영탁(金永鐸)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고, 1933년부터 대한민국임시의정원에서 전라도의원 등 여러 직책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활동하였고 국무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34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회의 비서장으로 선임되었으나, 급성폐렴에 걸려 6월에 숨을 거두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주4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선자, 『영원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인 김철』(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윤대원, 『상해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지식산업사, 2004)
김희곤, 『중국 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 연구』(지식산업사, 1995)
주석
주1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요다구(千代田區) 스루가다이(駿河台)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 1881년에 설립된 ‘메이지 법률 학교’가 그 전신으로, 1886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으며, 1903년에 메이지 대학 전문부로 개편되었다. 1920년에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49년에 메이지 여자 전문학교, 도쿄 메이지 공업 전문학교, 메이지 농업 전문학교를 통합하였다.    우리말샘

주2

1918년에 상하이에서 김구, 여운형, 이광수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독립투사의 모임. 당원은 약 50명이었으며, 기관지 ≪신한청년보≫를 발간하여 독립 정신을 고취하였고,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민족 대표로 보내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3

결석 판결을 행하는 재판.    우리말샘

주4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정인(춘천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