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항 ()

신종교
인물
조선 후기에, 『주역』을 풀이하여 한국식으로 체계화한 역학의 대가로, 『정역』을 주창한 학자.
이칭
도심(道心)
일부(一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6년(순조 26)
사망 연도
1898년(고종 35)
출생지
충청남도 논산
정의
조선 후기에, 『주역』을 풀이하여 한국식으로 체계화한 역학의 대가로, 『정역』을 주창한 학자.
개설

자는 도심(道心), 호는 일부(一夫). 『정역(正易)』의 저자이다. 충청남도 논산 출신. 어려서부터 덕기도골(德器道骨:어질고 너그러운 도량과 재능)로 모습이 비범하였고, 배우기를 좋아하여 성리학에 깊이 침잠하고 예문(禮文)에 조예가 깊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20세 때 민씨(閔氏)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몄으나 살림에는 뜻이 없어 독서만 하였으며, 영가(詠歌)를 계속 불렀다. 일찍이 이운규(李雲圭) 밑에서 최제우(崔濟愚) · 김광화(金光華)와 함께 공부하였는데, 특히 이운규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운규는 어느날 최제우 · 김광화 · 김항 세 사람을 불러놓고, 최제우와 김광화는 선도(仙道)와 불도(佛道)를 대표하여 이 세상에 나온 것이니 그 일을 잘 하라고 당부하고, 김항은 공자의 도를 이어받아 장차 크게 주1를 받들 것이라고 하였다. 1879년(고종 16) 이운규가 전해준 ‘영동천심월(影動天心月)’의 뜻을 19년 동안의 노력 끝에 스스로 깨우쳤다. 그의 수양방법은 『서전(書傳)』의 정독과 다독, 그리고 영가와 주2로 인한 정신계발이었다.

그 뒤 그에게 이상한 괘획(卦劃:주역의 기본이 되는 그림)이 종종 나타나기 시작하여 처음에는 기력이 쇠한 탓인가 생각하였으나 점점 뚜렷이 나타나므로 그것을 그렸는데, 그것이 곧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였다. 팔괘의 명사(命寫)가 끝나자 공자의 영상이 나타나 “내가 일찍이 하고자 하였으나 이루지 못한 것을 그대가 이루었으니 이렇게 장할 데가 있나.”라고 하면서 무한히 찬양하고, 호를 ‘일부’로 하라고 하였다. 이 때가 1881년이었고, 그 해에 「대역서(大易序)」도 얻게 되었다. 1885년 『정역』을 완성하였는데, 그 무렵 논산시 연산면 도곡리 국사봉(國師峯)으로 옮기자 수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어 『정역』을 공부하였고, 뒤에 이들이 일부계 신종교의 창시자들이 되었다.

공부를 가르치기보다는 제자로 하여금 스스로 깨닫게 하였으며, 혹 잘못이 있어도 나무라기보다는 타일렀고, 틀렸다고 지적하기보다는 좀 덜 생각하였다고 하였다. 그로써 그의 천성이 온후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평생 낮잠을 잔 일이 없고 밤에도 거의 앉아서 지냈으며, 마지막 순간에도 앉아서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주역』을 한국식으로 풀이하여 체계화한 한국 역학의 대가였다.

참고문헌

『정역연구』(이정호, 국제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76)
주석
주1

하늘의 도움이 있는 시기. 우리말샘

주2

춤을 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홍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