깍두기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물품
무를 작은 밤알 크기로 모나게 썰어서 담근 김치.
목차
정의
무를 작은 밤알 크기로 모나게 썰어서 담근 김치.
내용

젓무·홍저(紅葅)라고도 하며, 궁중에서는 송송이라 하였다. 홍선표(洪善杓)는 깍두기의 유래를 “정조 때에 왕의 딸인 홍현주(洪顯周)의 부인이 처음으로 만들어 왕에게 바쳤다. 당시의 이름은 각독기(刻毒氣)라 하였는데, 공주로 낙향한 정승의 한 사람이 깍두기를 민간에 퍼뜨렸기에 공주깍두기라는 이름이 나왔다.”라고 ≪조선요리학(朝鮮料理學)≫에서 설명하고 있다.

영조·정조시대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춘향전>의 “어사또 상을 보니 어찌 아니 통분하랴. 떨어진 개상판에 콩나물 깍대기 막걸리 한사발 놓았구나.”라는 구절에도 깍두기가 등장하고 있다. 조선시대 조리서 중에서 깍두기의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는 것은 1800년대 말경의 것으로 추측되는 ≪시의전서(是議全書)≫에서부터이다.

이 책에는 젓무라는 명칭으로 나와 있다. 1913년에 발행된 ≪요리제법(料理製法)≫에는 깍두기·오이깍두기·굴깍두기·숙깍두기·닭깍두기 등 다양한 종류의 조리법이 적혀 있다. 깍두기를 만드는 방법은 무를 너비 2.5㎝, 두께 1.5㎝ 정도의 입방체로 썰어 소금에 절인 다음 고춧가루와 버무려 빨갛게 물들이고, 파·마늘·생강과 새우젓 다진 것을 넣고 고르게 버무려 담근다.

참고문헌

『한국식품문화사』(이성우, 교문사, 1984)
「한국저채류제조사」(장지현,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7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덕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