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고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조선 중기, 학자 · 도사(道士) 남사고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남사고 설화」는 조선 중기의 학자·도사(道士) 남사고에 관한 설화이다. 남사고가 천문 지리에 능통하고 신이한 도술을 부리며 미래를 예언했다는 이인 전설이다. 문헌과 구비로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는데, 「구천십장」으로 대표되는 구비 설화는 남사고 같은 이인일지라도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거나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면 망하게 된다는 교훈을 전한다.

정의
조선 중기, 학자 · 도사(道士) 남사고에 관한 설화.
개설

천문 · 지리에 능통하고 도술을 부려 신이한 행적이 많았다는 주1 남사고(南師古)에 관한 인물 전설이다. 남사고는 선조 때에 천문 교수(天文敎授)를 지냈다는 것 외에 뚜렷한 경력은 없지만, 당대부터 여러 문헌에 많은 설화를 남겼다.

남사고에 관한 설화는 『동야휘집(東野彙輯)』 · 『대동기문(大東奇聞)』에 각 7편, 『계산담수(鷄山談藪)』에 3편, 『송와잡설(松窩雜說)』 · 『지봉유설(芝峰類說)』 · 『어우야담(於于野譚)』 · 『청구야담(靑丘野談)』에 각각 1편씩 수록되었다. 구전 설화는 남사고의 고향인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에 풍부하게 전해지며, 그 밖의 지역에서도 전해지고 있다.

내용

문헌 설화에서는 남사고가 선조의 등극과 동서 당쟁의 시작을 예언했다는 내용이 많다. 임진왜란도 미리 알고 있었으며, 정유재란 때는 왜군이 한강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하였다. 그가 주2로 사람들을 현혹시켰다고 혹평한 기록도 있지만, 대개 남사고의 예언이 정확했으며 인물이 뛰어나고 충성스러웠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구전 설화에서는 남사고가 조선을 정탐하러 온 왜장 헤이[平秀吉]가 중으로 변장하여 조선 지도를 그리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지도를 못 쓰게 만들고 헤이를 도망치게 했다고 한다. 앞일을 예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방비책까지 강구했다는 점에서 문헌 설화와 차이가 있다. 구전되는 이 유형은 이인이 외적을 퇴치한 이야기의 좋은 예가 된다.

설화 속에 나타나는 남사고의 도술은 반드시 긍정적인 의미만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산사에 들어가 이상스러운 중에게 도술을 배웠다는 것은 그가 지닌 도술의 출처가 의심스럽다는 생각을 보여 주는 것일 수 있다. 평소에는 할 일이 없어 집에 든 도둑이나 골려 주고, 참외 장수나 골탕을 먹였다고 한다. 사술을 부리다가 이황(李滉)에게 제지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엇보다 구비로 가장 많이 전승된 유형은 「구천십장(九遷十葬)」이다. 남사고가 풍수지리에 정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아버지 무덤을 쓸 때에는 욕심에 눈이 어두워 아홉 번 이장하고 열 번 무덤을 썼으나 망하고 말았다는 이야기이다. 남사고는 '비룡상천(혹은 구룡쟁주)형'의 명당에 부친 묘를 썼는데, 이를 본 노인(혹은 어린아이, 일꾼)이 '고사괘수(혹은 구사쟁와)'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깜짝 놀라 주변을 다시 살피니 묘 아래 너른 바다가 실은 메밀밭이어서 잘못된 자리인 줄 깨달았지만 결국 더 이상 묘를 옮기지 못했고 남사고도 곧 죽고 말았다는 내용이다. 남사고가 무리한 짓을 한 탓에 자손도 없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남사고가 도가적 술법을 선택했으므로 유가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단적인 인물이 된다. 이러한 점을 들어서 일부 문헌 설화에서처럼 구전 설화에서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구비 설화는 남사고를 통해 주3이나 하급 관리들의 횡포를 고발하거나, 명당에 집착하는 양반들의 위선과 허위 의식을 조롱하고, 지나친 욕심과 능력에 대한 과신을 경계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송와잡설(松窩雜說)』
『지봉유설(芝峰類說)』
『어우야담(於于野譚)』
『계산담수(鷄山談藪)』
『청구야담(靑丘野談)』
『동야휘집(東野彙輯)』
『대동기문(大東奇聞)』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동해안문화권조사보고서』(성균관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76)

단행본

유증선, 『영남의 전설』(형설출판사, 1971)
조동일,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9)

논문

박재락, 「격암 남사고의 ‘구천십장’ 설화와 풍수적 재조명」(『국학연구』 20, 한국국학진흥원, 2012)
한미옥, 「남사고 설화에 나타난 전승 의식」(『남도민속연구』 20, 남도민속학회, 2010)
주석
주1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 우리말샘

주2

바르지 못한 수단을 잘 둘러대는 요사스러운 술법. 우리말샘

주3

시골에 내려가 살면서 여러 대 동안 벼슬을 못하던 양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