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주집 ()

목차
관련 정보
이곽의 노주집 중 신의집 묘지명
이곽의 노주집 중 신의집 묘지명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24년(경종 4)신의집(申義集)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신의집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29수, 행장 3편, 묘문(墓文) 2편, 제문 10편, 서(序) 1편, 기 3편, 발 5편, 설·첩인(帖引)·소차(疏箚)·소·서(書) 각 1편, 부록에는 만사·제문·묘지명·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간략하면서도 호방하여 당나라와 송나라의 시풍을 따르고 있다. 그 중 「동음도중(洞陰道中)」과 「강루구점(江樓口點)」은 즉흥시로서 보고 느낀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삼각산(三角山)」·「문수사(文殊寺)」·「보개산(寶蓋山)」·「장안사(長安寺)」·「만폭동(萬瀑洞)」 등은 경치의 묘사방법이 탁월하다.

소의 「청침하정원비망소(請寢下政院備忘疏)」는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라는 비망기를 내리자 그에 반대하여 올린 상소이다.

「삼도설(三刀說)」은 자기 집에 3대의 효자를 나게 한 세 개의 칼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밖에 연회 때의 상황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인 「연회도축발(宴會圖軸跋)」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