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살이

목차
촌락
개념
가족이나 개인이 주인집의 필요에 의해 일을 해주고, 대신 품삯이나 토지를 제공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형태.
목차
정의
가족이나 개인이 주인집의 필요에 의해 일을 해주고, 대신 품삯이나 토지를 제공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형태.
내용

머슴살이와는 달리, 이들은 계약에 의한 고용노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참여하여 도와주고, 그 대신 주인집에서는 생계에 불편이 없도록 품삯이나 토지를 제공하게 된다.

이들과 주인의 관계는 노비처럼 예속의 관계가 아니라, 외면적으로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상하의 관계가 유지되었다. 담살이를 하는 사람의 신분은 대부분 양인(良人)층이었다.

그러나 노비의 딸이 일정한 기간 동안 주인집을 드나들면서 일을 도와주는 드난살이를 마치고 혼인하여 담살이를 하는 경우도 있었고, 신분제도가 타파된 뒤 노비의 신분이었던 사람들이 그대로 주인집에 얹혀서 담살이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산업화 이후 영세한 농민들이 도시의 공장노동자로 전업하게 됨으로써 담살이의 형태는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동족부락(同族部落)의 생활구조연구(生活構造硏究)』(김택규, 청구대학출판부, 1964)
「경제생활」(한상복, 『한국민속대관』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집필자
이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