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천지위(不遷之位)의 줄임말이다. 신주를 조매(祧埋)하지 않고 계속 봉사한다고 하여 부조위(不祧位)라 부르는 곳도 있으며, 불천위를 두는 사당을 부조묘(不祧廟)라고도 부른다. 불천위에는 나라에서 정한 국불천위(國不遷位)와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한 유림불천위(儒林不遷位) 혹은 사불천위(私不遷位)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림불천위보다는 국불천위가 더 권위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조선말에 정해진 국불천위는 조정 중신들의 파당적 이해가 개입되기도 하였다. 유림불천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하는 사례가 있었다. 국불천위의 대상은 원칙적으로 문묘(文廟)에 배향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우리 나라 사람으로서 문묘배향자는 모두 18명이다. 배향자를 보면, 동무(東廡)에는 신라시대의 설총(薛聰), 고려시대의 안유(安裕), 조선시대의 김굉필(金宏弼) · 조광조(趙光祖) · 이황(李滉) · 이이(李珥) · 김장생(金長生) · 김집(金集) · 송준길(宋浚吉)이 배향되어 있고, 서무(西廡)에는 신라시대의 최치원(崔致遠), 고려시대의 정몽주(鄭夢周), 조선시대의 정여창(鄭汝昌) · 이언적(李彦迪) · 김인후(金麟厚) · 성혼(成渾) · 조헌(趙憲) · 송시열(宋時烈) · 박세채(朴世采)가 배향되어 있다.
이들이 모두 국불천위들이다. 이 밖에도 왕이나 왕자 · 부마 등도 엄격히 따지면 국불천위의 대상에 속한다. 시호를 받으면 국불천위로 인정하는 관습도 있었다. 유림불천위나 사불천위는 그 수가 대단히 많은데, 서원에 배향되어 있는 사람들은 일단 그 대상으로 볼 수 있겠다.
불천위는 그 자손들이 있는 한 분묘와는 별도로 사당에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다. 이러한 제사를 불천위제사(不遷位祭祀) 혹은 불천위대제(不遷位大祭)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조상의 기제사(忌祭祀)는 고조이하(高祖以下) 4대까지만 봉사하고 5대부터는 혼백을 무덤에 묻고 묘사의 대상으로만 한다. 그러나 불천위는 계속하여 신위를 사당에 모시고, 기제사는 물론 묘사나 시제(時祭)를 지낸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가문에 따라서는 불천위에 대하여 기제사만 지내기도 한다. 불천위제사는 불천위로 정해진 뒤 3년째부터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제사의 절차는 가문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나 기제사의 절차에 준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불천위제사에는 지방의 유림이나 유지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종손이 주제를 하되 문중뿐만 아니라 유림에서도 제관이 선정된다는 점이 다르다.
또, 문중에 따라서는 후손들이 제관이 되어 사신(辭神)을 하면 유림들이 제사지내는 장소에 들어와 재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불천위와 그에 대한 제사는 국가나 유림, 문중에서 정하는 공훈이 있는 훌륭한 사람에 대한 예우이기 때문에 훌륭한 조상은 살아 있을 때의 지위에 따라 죽어서도 특별대우된다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죽은 이의 생존시 업적이나 지위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단순한 조상숭배가 아니고 기념되거나 추도된다는 성격을 지닌다. 불천위를 모시고 있는 문중의 입장에서 보면 조정이나 유림에서 봉사할 만한 위대한 선조를 가졌다는 영예가 주어지기 때문에 문중성원들의 단결과 동질감을 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위세와 우월감을 조장시켜주기도 한다. 그래서 불천위가 있는 문중에서는 명조(名祖)를 두었다는 점을 자랑삼는다. → 부조묘(不祧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