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출판문화협회 ()

대한출판문화협회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
단체
출판의 자유를 확보하고 출판사업의 건전한 발전과 출판문화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된 사단법인체.
정의
출판의 자유를 확보하고 출판사업의 건전한 발전과 출판문화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된 사단법인체.
개설

1950년 10월 서울 명동에 임시사무소를 둠으로써 발족되었다. 이 단체의 설립 이전 1947년 3월에 설립된 조선출판문화협회가 있었으나, 6·25전쟁 중에 그 기능이 마비되었기 때문에 새로이 설립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각 출판사는 이 협회를 통해 공보처에 재등록하였는데, 그 결과 전쟁 전의 798개출판사(1949년 1월 15일 현재) 중 185개 밖에 등록이 안 되었으며, 그 중 출판협회 회원사는 124개였다. 이 재등록과정을 통하여 출판인들의 부역사실(附逆事實)을 심사하여 좌익계열 출판인의 재기를 막을 수 있었다.

1951년 1·4후퇴 때 회원의 피난처에서의 활동을 보장해 주기 위하여 그 해 8월 출판협회 회장과 공보처장관 공동명의로 전시출판요원증(戰時出版要員證)을 발급해 주었다.

그 해 10월 13일 부산시청 회의실에서 총회를 열어 ‘대한출판문화협회 정관’을 통과시키고, 1952년 3월 26일 공보처로부터 사단법인 설립인가를 받아 법인체로서 새로 출범하게 되었다. 당시 회장은 김창집(金昌集), 부회장은 최영해(崔暎海)였으며, 이로써 이 협회는 궤도에 오르기 시작하였다.

그 뒤 출판물거래 문제에서 소매상의 판매대금 미지불 문제를 해결하고, 1957년 사단법인 한국출판협동조합을 설립하여 도서판매기구의 개편을 기도하였으며, 1966년 이후 국제회의에 참가하여 출판업계의 세계 수준으로의 발전향상을 꾀하였다.

또한, 1969년 출판금고(出版金庫)를 사단법인체로 조직, 그 기금의 지원으로 활용하였으며, 격주간의 『출판저널』을 창간하여 신간안내와 국내외 출판정보를 보도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출판사업에 관련된 세금부과의 감면문제, 각 출판사 경리담당자 내지 관리인들에 대한 세무행정연수회 개최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면서 매년 출판경영인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1966년 용지문제로 외국산 용지 면세 내지 감세 수입을 당국에 진정하였고, 1971년 용지 국산화를 위해 상공부장관에게 건의서를 냈다. 한편, 「저작권법(著作權法)」을 비롯한 출판 관계법규에 대해서도 법무부 당국과 협의를 하였다.

출판인들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국제세미나를 개최하고 1963년부터는 『출판연감(出版年鑑』, 1970년 12월 『출판백서(出版白書)』를 냈다. 1969년 7월 주간 『독서신문』을 창간하여 독서계몽과 신간안내지의 구실을 하였으며, 1981년 6월 편집인대학, 1989년 4월 출판대학을 개설하여 출판·편집인 양성에도 나섰다.

1982년 1월부터 정부를 대신하여 신간의 납부 접수 업무를 하고 있으며, 1986년 7월에는 재단법인체로 한국출판연구소를 설립하고 매년 『출판연구』를 발행하고 있다.

1991년 3월 도서상품권 발권회사인 한국도서보급(주)에 출자하고 그 해 11월 ISBN(국제표준도서번호)의 도입과 POS(판매 정보를 기록하는 제도)제도 시행에 따른 바코드심벌제작을 대행하고 있으며, 1992년 8월에는 1993년을 ‘책의 해’로 선정, 그 이듬해 전국 규모의 행사를 주도하였다.

1994년 1월에 아시아·태평양 국가 출판협회(APPA)에 부회장국으로 가입하였으며, 그 해 3월에는 책의해 조직위원회와 출협이 적극 추진하여 「도선관 및 독서진흥법」이 제정되었고, 또한 10월 ‘독서진흥상’을 제정, 독서인구 확대에 진력하고 있다.

1995년 5월 광복 50주년을 맞아 그 전의 ‘서울도서전’을 ‘국제도서전’으로 확대 개칭, IPA(국제출판협회)로부터 인증받은 격상된 국제도서전을 매년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 1996년 8월에는 우수학술도서선정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한편, (주)한국출판정보통신의 창립주주로 참여하여 미래의 정보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1975년 6월 25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에 자체 회관을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대한출판문화협회50년사 1947-1997』(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