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송소고택 ( )

청송 송소고택 전경
청송 송소고택 전경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에 있는 개항기 만석 재산가 심처대의 7대손인 송소 심호택 관련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송 송소 고택(靑松 松韶 古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07년 10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북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15-2 (덕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송 송소고택은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심처대의 7대손인 송소 심호택 관련 주택이다. 2007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880년경 건축한 가옥으로 ‘송소세장’ 현판이 달려 있다. 10채의 건물이 경내에 있는데 그중 안채·사랑채와 대문간채는 개화기 이후의 건물이다. 대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의 기와를 이은 맞배지붕이며 대문 좌우로 행랑채가 있다. 마당채는 대문간채와 이웃한 북방에 있다. 안채에는 안방과 함께 사랑방이 공존하는 구성이다. 이 고택은 경상북도 북부 민가 양식으로 상류 주택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키워드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에 있는 개항기 만석 재산가 심처대의 7대손인 송소 심호택 관련 주택.
개설

2007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영조 때 만석의 재산을 가졌던 심처대(沈處大)의 7대손 송소(松韶) 심호택(沈琥澤)이 1880년경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하면서 건축한 가옥으로, ‘송소세장(松韶世莊)’이란 현판을 달고 9대간 만석의 부를 지녔던 주택이다.

10채의 건물이 경내에 있는데 그 중 측간(안채 · 사랑채)과 대문간채는 개화기 이후의 건물이다. 그 외의 건물에도 중수시 1912년 이래의 개화형 흔적이 보여 1880년대 건축구조가 온당하게 보존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내용

대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의 기와를 이은 맞배지붕인데 대문 좌우로 행랑채가 있다. 대문간채와 이웃한 북방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마당채가 있다.

안채 앞마당에 화단이 있고 그 남쪽에 우물이 있는데 주변에 잘생긴 나무들이 서 있다. 안채 남쪽 샛담 안쪽에 은행 · 단풍 · 옥매화 · 향나무 · 전나무가 있어 운치를 자아낸다. 안채는 변형의 ㅁ자형 날개집 평면이고 반듯한 안마당, 부엌 쪽에 우물이 있고 옆에 화단이 조성되어 있다.

안채에 안방과 함께 사랑방이 공존하는 구성인데 사랑방이 앞에, 안방이 뒤편에 자리잡았고, 그들은 보통 살림집에 비하여 규모가 장대해서 부잣집답다고 할 만하다. ㅁ자형 앞날개 중앙에 중문이 있고 그 우측에 작은사랑, 좌측에 큰사랑이 있다. 큰사랑의 사랑방은 정면 2칸, 측면 칸반인데 방 뒤편 반칸은 미닫이의 분합(分閤: 창살문)을 들여 반침(큰 방 옆에 붙는 작은 방)을 만들었다.

사랑방에 이어 4칸의 대청이 자리하는데 방 앞 퇴칸까지 치면 상당한 넓이이다. 대청 건너에 책방이 있는데 구들마루로 1칸씩 구조하였고, 이어 좌측날개가 안방채 쪽으로 뻗는데 구들을 들인 책방 말고는 마루를 깐 고방(庫房: 물건을 넣어두는 방)이 계속된다. 내고(內庫)인 셈이다. 이는 맞은편 우측날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중문 우측 작은사랑도 2칸의 방과 1칸의 대청 그리고 뒤에 구조된 방이 자리잡고 있다.

안방이 있는 본채는 날개와 일단 분리하는 특성을 보였다. 우측부터 부엌 · 안방 · 대청 · 상방 · 안사랑방의 순인데, 부엌이 2칸 반, 안방이 4칸, 대청 2칸, 상방 2칸, 안사랑방 2칸 반 규모이다. 대청을 제외한 방에는 평천장 윗부분에 다락을 설비하여 수장중간을 확보하였다.

기둥간살이는 영조척(營造尺)으로 9척이 기본이나 대청 넓이는 10척, 부엌은 12척으로 하는 변형을 보였다. 부엌 12척은 1912년 이후 개수하면서 개화기적인 척도가 이용되었던 듯하다.

사당채는 안채와의 사이에 담장이 있어 일곽을 따로 형성한 셈이 되었다. 솟을삼문을 들어서면 사당채가 있는데 보통의 가묘(家廟) 형상이 아니고 정자의 유형이며 기거할 수 있게 구조된 방이 있고 정실(淨室)이 있는 구성이다. 역시 특색을 보인다고 하겠다. 안채 뒤울에 화단이 있고 장독대가 있으며 한편에 방앗간채가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북도 북부 민가양식으로 건물에 독립된 마당이 있으며, 사랑공간 · 생활공간 · 작업공간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있는 등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다. 바깥마당에 담장으로 구획한 내 · 외담과 대가족 제도하에서 4대 이상의 제사를 모실 수 있는 별묘 등이 있어 민속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