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날격지

선사문화
물품
길이가 너비에 비해 두 배 이상 길고, 양옆 날이 서로 거의 평행한 형태를 지닌 격지.
이칭
속칭
돌날
이칭
석인석편(石刃石片)
물품
재질
용도
석기
제작 시기
후기 구석기시대
내용 요약

돌날격지는 길이가 너비에 비해 두 배 이상 길고, 양옆 날이 서로 거의 평행한 형태를 지닌 격지이다. 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로, 흔히 돌날이라고 부른다. 돌날을 이용하여 제작한 도구로는 밀개, 새기개, 뚜르개, 슴베찌르개 등이 있는데, 특히 슴베찌르개는 돌날 제작의 석기 전통과 관련된 우리나라 후기 구석기시대의 표식적인 유물이다.

정의
길이가 너비에 비해 두 배 이상 길고, 양옆 날이 서로 거의 평행한 형태를 지닌 격지.
형태와 특징

돌날격지는 길이가 너비에 비해 두 배 이상 길고 양옆 날이 서로 거의 평행한 형태를 지닌 격지를 말하며, 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다. 흔히 돌날이라고 부르며, 후기 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이다.

제작 기술

돌날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 돌감은 주로 주1, 주2, 주3, 주4, 주5, 주6 등 내부 입자가 곱고 균일한 암석이며, 간혹 주7주8으로 제작된 돌날도 있다. 일정한 크기의 규격화된 돌날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우 체계적인 제작 방법이 요구된다.

돌날 제작 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자갈돌 또는 덩이돌, 모난돌, 두터운 대형 격지 등을 몸체로 하여 표면에 있는 불필요한 자연면 등을 제거한 다음 대략적인 다듬기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능선 손질을 통해 돌날을 생산할 수 있는 기본적인 형태로 마름질하고, 적절한 각도와 면을 지닌 때림면을 생성한 후에 타격점을 세밀하게 손질한다. 이렇게 마련된 돌날몸돌에서 첫 번째 주9가 이루어지고, 연속된 돌날 생산이 반복적으로 이어진다.

제작도구

돌날을 이용하여 제작한 대표적인 도구로는 주10, 주11, 뚜르개, 주12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슴베찌르개는 돌날의 아랫부분을 잔손질하여 자루에 끼우거나 결합할 수 있는 주13를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돌날 제작의 석기 전통과 관련된 우리나라 후기 구석기시대의 표식적인 유물로 여겨지고 있다.

대표 유적

돌날이 출토된 대표적인 유적은 공주 석장리 유적을 비롯하여 단양 수양개 유적, 밀양 고례리 사화동유적, 진안 진그늘 유적, 대전 용산동 유적, 곡성 오지리 유적, 울산 신화리 유적, 포천 중리 용수재울, 임실 하가 유적, 대구 월성동 주거지, 남양주 호평동 유적, 인제 부평리 유적 등이 있다. 최근 단양 하진리에 위치한 수양개VI 유적에서는 35,000~40,000 BP에 해당하는 후기 구석기시대 문화층에서 많은 수의 돌날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용준, 『韓國 後期舊石器의 製作技法과 編年 硏究: 石刃와 細石刃遺物相을 中心으로』(학연문화사, 2007)
Inizan M.-L., Reduron M., Roche H., et Tixier J., 『Technologie de la pierre taillée』(Meudon: CREP, 1995)
Brézillon M.-N., 『La Dénomination des Objects de Pierre taillée: Matériaux pour un vocabulaire des préhistoriens de langue française』(Paris: CNRS, 1968)

논문

서인선, 「석장리유적 돌날과 좀돌날 제작의 기술학적 재검토 –돌감, 제작방법과 떼기기술을 중심으로-」(『한국구석기학보』 31, 한국구석기학회, 2015)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한국구석기학보』 31, 한국구석기학회, 2015)
주석
주1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2

정장석, 석영, 운모 따위의 결정(結晶)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규산이 많이 든 광석으로, 흰색을 띠며 물결무늬가 있다. 도자기나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3

석기(石基) 속에 반정(斑晶)이 있는 바윗돌을 통틀어 이르는 말. 흔히 누런색, 흰색, 회색을 띠며 무늬를 이루는 큰 결정은 알칼리 장석이나 석영 따위이고, 운모나 각섬석 따위를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4

변성 작용이 완전히 되고 미세한 알갱이들이 등립상(等粒狀)을 보이는 광물로 이루어진 변성암. 접촉 변성 작용에 의하여 생기며 편리(片理)를 나타내지 않는다.    우리말샘

주5

미세한 진흙이 쌓여서 딱딱하게 굳어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6

점토(粘土)가 굳어져 이루어진 수성암(水成巖). 회색이나 검은 갈색을 띠며, 흔히 얇은 층(層)으로 되어 잘 벗겨지는 성질이 있다.    우리말샘

주7

유문암질(流紋巖質) 또는 안산암질(安山巖質)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조가비 모양의 단구(斷口)를 가진다.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의 돌로 쓰고, 비석ㆍ도장ㆍ그릇ㆍ단열재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8

이산화 규소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삼방 정계에 속하는 알파형과 육방 정계에 속하는 베타형이 있는데 대개 화강암, 유문암, 변성암, 퇴적암 따위에 들어 있다. 유리 광택이 있으며, 무색의 순수한 것은 수정이라고 한다. 광학 기계, 유리, 도기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9

쐐기를 써서 돌의 격지를 떼어 내는 방법. 구석기 시대에 특히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10

돌날이나 격지의 한쪽 끝을 잔손질하여 일반적으로 날이 둥글며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게 만든 구석기 시대의 연장.    우리말샘

주11

새김질을 하는 데 쓰는 연장.    우리말샘

주12

슴베를 만들어서 창이나 화살 따위에 꽂아서 쓰는 찌르개.    우리말샘

주13

칼, 괭이, 호미 따위의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