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리산문 ()

곡성 태안사 중 천불보전 일원
곡성 태안사 중 천불보전 일원
불교
단체
신라 말에 형성된 선종(禪宗)의 한 산문(山門).
이칭
이칭
동리산파
정의
신라 말에 형성된 선종(禪宗)의 한 산문(山門).
산문의 형성 배경

선종은 당 불교계에서 8세기 후반에 마조 도일(馬祖道一)과 석두 희천(石頭希遷)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부각되었고, 그들의 문도들이 번창하면서 점차 독립된 교단으로 형성되었다. 본래 선종의 수행자는 각지를 다니면서 몇 사람의 스승에게 배웠으며, 인가를 받은 후에도 선지식을 계속해서 찾는 경우가 많았고, 스승과 제자 사이에 사제 관계 인식을 달리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전등사서(傳燈史書)가 편찬되면서 선승을 배타적으로 한 사람의 스승에 연결하는 경향이 확대되었고, 선종 특유의 법통설에 입각한 법계의식이 고양되었으며, 어느 사원이 특정 일파에 의해 계승되는 경향이 점차 확산되었다.

선종이 갖는 이러한 특성과 함께 9세기 중반 당의 회창(會昌) 폐불을 계기로 입당 유학승들이 신라로 돌아오면서 특정 개산 조사의 법통을 계승한 문도들이 특정한 사찰을 중심으로 한 산문을 지역에서 형성하였다. 선사들은 거주한 사원 단위로 각각 세력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된 산문으로 성장하였다.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르는 제자들이 특정 사원을 중심으로 대집단을 이루었다. 나아가 산문은 왕실, 중앙귀족, 호족의 후원을 받아 본사를 중심으로 곳곳에 장사를 두면서 경제적 기반을 갖추었다.

역사적 변천

동리산문(桐裡山門)은 827년(흥덕왕 2)에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이 동리산의 태안사(泰安寺)에서 선법을 널리 전하면서 산문으로 형성되었다. 혜철은 출가한 후에 부석사에서 처음 화엄을 공부하였으나, 814년(헌덕왕 6)에 선을 배우기 위해 당에 건너갔다. 그는 서당 지장(西堂智藏, 735~814)의 법을 잇고, 839년(신무왕 원년)에 신라로 돌아왔다. 그는 무주 쌍봉사에서 활동하다가 태안사로 옮겨 머물렀다. 이러한 혜철의 행적은 당시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세력으로 존재하였던 장보고가 841년(문성왕 3)에 자객인 염장에게 죽으면서 장보고 추종세력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당시 어지러운 사회적 상황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혜철은 문성왕의 귀의를 받았으며, 왕으로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요체에 대한 물음을 받고 봉사(封事) 몇 조항을 올렸다. 혜철은 861년(경문왕 원년)에 입적하기 전까지 왕실의 자문에 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00여 명이 넘는 문하의 제자 가운데 여선사(如禪師)가 혜철의 선풍을 계승하였고, 이어 광자 윤다(廣慈允多, 864~945)가 출현하여 신라 효공왕과 고려 태조의 귀의를 받아 산문이 더욱 확산되었다.

『태안사지(泰安寺誌)』에는 광자대사 당시 태안사의 경제 상황을 기록한 자료가 남아 있다. 이 자료에 제시된 시기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당시 태안사는 3천 석에 가까운 곡식과 500결에 달하는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사원전이 전남의 보성, 승주, 나주, 영광과 경남의 진주, 합천에 이르기까지 8곳에 나누어져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태안사의 경제 규모와 함께 동리산문이 독자적인 산문으로 자리 잡았던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혜철의 문하에는 도선(道詵)을 중심으로 한 계열이 전라남도 광양의 옥룡사를 중심으로 존재하였다. 도선의 문하에는 동진대사(洞眞大師) 경보(慶甫, 868~948)가 대표적인 선승으로 활약하였다. 경보는 892년(진성여왕 6)에 당에 들어가 소산 광인(疎山匡仁)의 법을 잇고, 921년(경명왕 5)에 견훤의 도움을 받아 귀국하여 전주 남복선원에 머물렀다. 이후 경보는 옥룡사로 옮겼으며, 고려 태조, 혜종, 정종의 귀의를 받았다.

참고문헌

『동리산태안사사적(桐裡山泰安寺事蹟)』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추만호, 이론과 실천, 1992)
「신라하대 혜철선서와 동리산문의 개창」(조범환, 『민족문화논총』34, 2006)
「고려 전기 선종사원의 경제와 그 운영」(이병희, 『한국선학』4, 2002)
「나말여초의 동리산문」(추만호, 『도선연구』, 1999)
「나말여초 동리산문의 성립과 그 사상」(김두진, 『동방학지』57, 198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명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