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수 ()

목차
관련 정보
김종직의 동문수 중 권수면
김종직의 동문수 중 권수면
한문학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김종직이 성삼문 등이 편집한 『동인문보』를 증수하고 개편하여 간행한 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김종직이 성삼문 등이 편집한 『동인문보』를 증수하고 개편하여 간행한 문집.
개설

10권 3책. 목판본. 10권3책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체재는 집현전원편(集賢殿原編)·김종직편·신종호재편(申從濩再編)으로 되어 있다. 10권 5책으로 된 사본은 규장각도서에 있다. 신종호의 발(跋)이 들어 있다.

내용

『동문수』는 신라 최치원으로부터 조선 초의 이승소에 이르기까지 역대 학자·문인들의 산문을 뽑아 엮은 책이다. 본래 성삼문 등 집현전 학자들이 우리나라 역대의 문장을 뽑아서 편집하여 『동인문보(東人文寶)』라는 책자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였다. 오랫동안 구(舊) 규장각에 비장되었던 것을 김종직이 다시 증수하고 개편하여 간행하였다. 「동문수」라는 명칭은 송(宋)나라 요현(姚鉉)이 당(唐)나라 300년간의 문을 정선하여 편찬한 『당문수(唐文粹)』에 견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바탕으로 신종호가 조선 초기의 문장을 더 추가하여 1488년(성종 19)에 재편한 것이다.

김종직은 가학(家學)으로 소년시절부터 독실히 공부하여 약관에 벌써 문명(文名)을 떨쳤다. 시와 문에 있어서는 당대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당시 서거정(徐으居正)이 비록 문형(文衡 ; 대제학)을 쥐고 있었지만 서거정이 가장 두려워하는 적수였다.

서거정이 관료적인 문학가였음에 비하여 김종직은 선비 문학자로 일평생을 덕행·문장·정치의 세 가지 일을 엄수한 문인이었다. 『동문수』에서 김종직은 지나치게 번화한 것을 버리고 규범이 짜인 글을 중심으로 하여 수록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신종호는 발문에서 “문자의 말기(末技)에만 급급하여 아로새기고 수놓고 조직하는 것을 교(巧)로 삼고, 괴이하고 험하고 어려운 것을 신기하게 여기는 것은 모두 공의 취택하지 않는 바이요, 오직 시대성에 절실하고 의리에 밝아야만 취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 이후에 고려와 조선 초기까지의 한문학을 일단 정리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한문학의 전모를 보여주는 것으로는 너무 빈약하다는 결점이 나타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성현(成俔)은 『용재총화』에서 김종직은 화려한 문장을 싫어하였기 때문에 온화한 문장만을 뽑은 것이 결점이라고 비난하였다. 권응인(權應仁)은 『송계만록(松溪漫錄)』에서 “『동문수』에 선택된 문장은 매우 정선된 것이다.”라고 평하였다.

참고문헌

『용재총화(慵齋叢話)』
『송계만록(松溪漫錄)』
『한국한문학사(韓國漢文學史)』(이가원, 민중서관, 196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