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우회순회연극단 ()

연극
단체
1921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되었던 순회연극단.
정의
1921년 일본 동경에서 조직되었던 순회연극단.
연원 및 변천

동우회는 1920년 동경에서 조직된 노동자·고학생의 친선단체인 동우회(同友會)에서 조직했는데 동경에 거주하는 한국인 노동자 3000여 명을 회원으로 하고 있었다. 국내의 순회연극을 목표로, 1920년 에 조직되어 있던 동경유학생들의 연극연구단체인 극예술협회(劇藝術協會)와 제휴하였다.

1921년 봄 이후에 준비를 마친 동우회와 극예술협회는 하기방학을 이용하여 국내 순회극단을 조직, 1921년 7월 7일 에서 8월 18일 까지 전국 주요 도시 순연(巡演)의 길에 나섰다. 이 일행은 동우회 간부인 임세희(林世熙)를 단장으로 하여 모두 22인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대부분은 극예술협회의 회원이며, 이 단체의 동인이 아닌 이로는 마상규(馬湘圭)를 비롯한 몇 사람이 있었을 뿐이었다.

이 극단의 연출은 극예술협회를 주도하던 김우진(金祐鎭)이 맡았는데, 그는 동우회의 취지에 찬동하여 국내 순회공연비 일체를 자담하기까지 하였다. 연기자는 유춘섭(柳春燮)·홍영후(洪永厚)·공원호(孔元昊)·조명희(趙明熙)·김석원(金錫元)·마상규·홍해성(洪海星)·김기진(金基鎭)·허일(許一) 등이었다.

국내 순연을 위한 프로그램은 연극 외에 홍영후·윤심덕(尹心悳)·한기주(韓琦柱) 등의 독주와 독창은 물론 강연까지 곁들여 다채롭게 꾸며졌으며, 상연작품은 번역극보다 당대의 절박한 현실문제를 취급한 창작극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여, 김우진이 번역한 던세니(Dunsany,L.)의 <찬란한 문 The Glittering Gate> 이외에 조명희의 창작극 <김영일(金英一)의 사>, 홍영후의 동명소설을 각색한 <최후의 악수>가 선정되었다.

1921년에는 부산·마산·김해·경주·대구·목포 등 지방도시를 순회공연하고, 7월말 서울의 단성사(團成社)에서 4회의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서울 공연을 끝내고 다시 평양·진남포·원산에서 순회공연을 계속한 뒤 귀경하여 8월 18일 종로의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 회관에서 해단식을 거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동우회는 그 회의 회관건립기금 모금을 위하여 국내 순회연극을 기획하였고, 이 기획은 극예술협회의 협찬을 얻어 실천에 옮길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 극예술협회가 동우회의 국내 순회연극에 호응한 이유는 고학생을 돕는다는 좋은 명분 이외에 그들 자신의 연극운동을 실천하려는 의도가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우회순회연극단은 재일 유학생의 민족의식을 연극을 통해 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재일 유학생의 모임인 학우회의 순회강연, 갈돕회 연극의 국내순회에서 나타난, 드높아진 민족의식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연극사』(김재철, 학예사, 1939)
『한국신극사연구』(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한국연극사』(이두현, 보성문화사, 1979)
『한국현대문화사대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