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신사 ()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유적
서울특별시 남산(南山)에 있는 목멱산신을 배향하던 신당. 산신당.
이칭
이칭
국사당(國師堂)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남산(南山)에 있는 목멱산신을 배향하던 신당. 산신당.
내용

목멱산은 현재의 남산을 일컫고, 목멱신사(木覓神祠)에 대한 이칭은 흔히 국사당(國師堂)이라고 하였다. 목멱신사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과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 두루 보인다.

목멱산신을 모시게 된 내력은 『태조실록』 4년 조를 보면 알 수 있다. 태조가 이조에 명하여 남산을 봉하여 목멱대왕으로 삼은 뒤 경대부와 사서는 제사하지 못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목멱신사는 목멱산 마루에 있어서 봄과 가을로 주1를 행하였다고 전한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경성 목멱산 잠두봉 국사당 음사(京城 木覓山 蠶頭峰 國師堂 淫祀)”라고 해서 비판한 바 있고, 목멱산신에게 제사를 베풀 때는 전사청(典祀廳)을 국사당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곳에는 고려공민왕, 본조 승 무학(本朝 僧 無學), 고려 승 나옹(懶翁), 서역 승 지공(指空) 등의 영상 및 기타 제신상을 걸어놓았다.

또 맹자상(盲者像)과 소녀상이 있는데 소녀상은 두신(痘神)이라 하여 신전에 지분 등을 베풀어 지나치게 설혹(褻惑: 더럽고 정신없게)하였고 기도 또한 성대히 베풀어 나라에서도 금하지 못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목멱신사에서 배향되는 신격은 모두 무속에서 섬기는 신들이므로 무속신앙의 형태를 확인하게 된다.

목멱신사는 한마디로 나라에서 행하는 굿을 베풀던 사당이고, 산천제의 기능을 하던 곳이라 하겠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나라에 대사가 있으면 반드시 산천에 제를 지냈다고 하였으니 목멱신사도 그러한 제를 지냈던 곳이다.

목멱신사에 주로 빌었던 내용은 나라를 지키고 복을 비는 수호기복, 왕가나 왕손의 병을 구원하자는 구병 등이 대부분이다. 고대로부터 지속되어온 산악신앙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이고, 그것이 조선시대에 이르러 신당의 형태로 드러난 것이 목멱신사이다.

이 신사는 1925년까지 본래 남산 팔각정이 있는 자리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남산에 신궁(神宮)을 지으면서 목멱신사가 그들의 신궁보다 높이 있다고 하여 지금의 인왕산 국사당자리로 옮기도록 강요했다.

때문에 남산의 당을 헐고 사당의 일부를 인왕산 서쪽으로 옮겨 조립해서 그 형태나 구조가 원형과 비슷하게 남게 되었다. 목멱신사가 훼철되고 사당의 일부가 이전된 후 인왕산 국사당이란 명칭으로 1973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고, 이곳의 무신도 28점은 이보다 앞서 1970년에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바 있다.

참고문헌

『서울의 민간신앙』(이재곤, 백산출판사, 1996)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유동식, 연세대학교출판부, 1978)
「국사당」(장주근,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16호, 문화재관리국, 1965)
「朝鮮巫俗考」(李能和, 『啓明』19, 1927)
주석
주1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집필자
김헌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