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극광산 ()

목차
산업
지명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있었던 금광산.
목차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있었던 금광산.
내용

지질은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규장암(硅長岩)·흑운모화강암(黑雲母花崗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상(鑛床)은 열극충전함금석영맥(裂隙充塡含金石英脈)이며, 맥수는 50개조이고, 연장 300∼600m, 심도 200m, 맥폭은 0.3∼0.5m이다.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금광산으로, 1909년 광업권이 등록되었다.

우리 나라의 금광은 1943년 금산정비령(金山整備令)으로 대부분 폐쇄상태에 있었는데, 정부수립 후 이 광산은 구봉광산(九峰鑛山)과 더불어 재개발되어, 1962년 기록적인 산금실적을 올렸고 국내 산금량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1963년부터는 계속 감산추세에 있었으며, 특히 1971년 이후 한때 휴광한 적도 있다. 현재 광업권자는 영풍광업주식회사이다. 1954년 8월에 건립된 선광장(選鑛場)은 1일평균 120T/D의 처리용량을 가지며, 금 2㎏의 정광을 생산하고 있다.

금(품위 Au 6.7∼7.3g/t)과 은(Ag 33∼38g/t)의 매장량을 보면 확정 2만4143t과 추정 8,817t으로 총 3만2960t이며, 1981년의 연생산량은 금이 400gr, 은이 1,000gr이다. 그러나 1997년 12월에 휴광되었다.

참고문헌

『탄전지질 및 시추조사보고』 9(대한광업진흥공사, 1985)
『정비금광산요람』(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2)
『한국의 광산물』(대한광업진흥공사, 1979)
『한국의 광업현황』(상공부, 1973)
집필자
홍경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