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군은 남-북으로 한 열을 이루고 있었다. 이 일대가 아파트공사부지에 포함됨으로써 1991년 목포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총 4기가 조사되었으나 제3·4호 고인돌은 이미 파괴되어 정확한 하부구조를 파악할 수 없었다.
제1호 고인돌은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474㎝, 너비 312㎝, 두께 94㎝이고,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며 장축은 남북방향이다. 덮개돌 아래에는 고임돌이 1개가 있고 여러 매의 판석을 세워 돌널[石棺]을 만들었다. 그 크기는 길이 112㎝, 너비 50㎝, 깊이 50㎝이며, 서남쪽 벽석이 이미 파괴되었다.
서남쪽 벽석이 파괴된 곳에는 움무덤이 후대에 추가로 축조되어 있었다. 유물은 돌화살촉, 숫돌, 천하석제 곱은옥[曲玉] 등이 있다. 움무덤은 바닥을 2매의 판석으로 깔아 시상대(屍床臺)로 하고 고인돌 무덤방의 벽석과 움무덤의 널[棺] 사이를 회백색 점토로 메꾸고 있었다.
남아 있는 바닥만으로 크기를 추정하면 길이 230㎝, 너비 80㎝이고 장축은 남동-북서방향이다. 유물은 쇠낫, 쇠도끼, 쇠조각편, 소형 구슬 등이 있다. 제2호 고인돌은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276㎝, 너비 190㎝, 두께 70㎝이고,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다.
하부구조는 무덤방을 따로 만들지 않고 움을 판 뒤 회백색 점토를 깔았으며, 그 위에 1∼2매의 판석을 덮고 덮개돌을 얹은 형식이다. 출토유물은 숫돌이 한 점 있다. 이 유적의 특징은 흔히 세형동검과 같이 출토되는 천하석제 곱은옥이 고인돌에서 출토된 점이다.
이는 세형동검이 사용되던 시기까지 고인돌이 축조되었음을 알려준다. 또한 고인돌의 무덤방을 후대에 파괴하고 움무덤을 축조한 점은 고인돌이 이미 무덤으로서의 기능을 잃은 후에 움무덤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