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묵재유고(2)
묵재유고(2)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정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1책. 목활자본. 1864년 증손 익상(翊相)·용상(龍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나경성(羅經成)의 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26수, 권2에 서(書) 9편, 문(文) 3편, 기(記) 1편, 서(序) 3편, 명(銘) 2편, 부(賦) 2편, 권3에 가장(家狀), 권4·5은 부록으로 행록·행장·묘갈명·비문·발(跋)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시에서 그의 사상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펴볼 수 있다. 「송파비음추제(松坡碑吟追題)」는 호란에 대한 울분을 토로한 것이며, 「대명매(大明梅)」는 명나라의 멸망을 애석히 여기는 내용이다. 그밖에 「봉람장릉지(奉覽莊陵誌)」·「독육신전유감(讀六臣傳有感)」·「선죽교(善竹橋)」 등은 춘추의리에 입각하여 우리 역사를 조감한 것이다.

서(書)는 주로 가족간의 우애를 당부한 내용이다. 「감사불우부(感士不遇賦)」는 도잠(陶潛)과 동중서(董仲舒)가 지은 「사불우부」를 보고 자신이 처한 현실에 자족할 수밖에 없음을 안타깝게 여긴 글이다. 「오강조항왕부(吳江弔項王賦)」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어간 항우(項雨)를 애도한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명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