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유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관료.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우태|좌보
관련 사건
차대왕의 왕위 찬탈
내용 요약

미유는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 차대왕 대 패자 관등으로 좌보를 역임한 관리이다. 관나부 우태였던 미유는 태조왕의 왕제인 수성(후일의 차대왕)에게 왕위 찬탈을 권유하는 등 그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다. 차대왕 즉위 후에는 왕위 추대에 대한 공으로 당시 고구려 최고위직인 좌보에 오르게 된다.

키워드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관료.
내용

관나부(貫那部)주1 출신으로 우태(于台) 관등을 갖고 있었다. 태조왕 80년(132) 왕의 아우인 수성(遂成; 후일의 차대왕)이 왜산(倭山)으로 사냥을 나갔을 때 그는 환나부(桓那部) 우태 어지류(菸支留), 비류나부(沸流那部) 조의(皂衣) 양신(陽神) 등과 더불어 수성에게 왕위 찬탈을 권하였다. 당시 수성은 국왕[태조왕]에게 적자가 있으니 그가 왕위를 잇는 것이 도리라며 사양하였으나, 미유는 현명한 동생이 형의 뒤를 이어 왕위를 잇는 경우는 옛날에도 있었음을 상기시키며 결단을 촉구하였다. 왕제 수성의 왕위 찬탈에 일종의 명분을 제공한 것이다.

이후 태조왕 94년(146) 7월 수성은 왜산에 사냥을 나갔다가 측근들에게 자신의 왕위 계승을 위한 책략을 세울 것을 요청하며 쿠데타를 모의하였고, 그의 측근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동조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이 태조왕에게 수성의 불온한 행위를 고발하며 숙청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태조왕은 고복장의 진언을 물리치고 12월에 수성에게 왕위를 양위한다.

평가

수성이 태조왕의 양위를 받아 차대왕으로 왕위를 계승한 다음해(147)에 미유는 좌보(左補)가 되었다. 당시 미유는 관나부 패자(沛者)로 기록되고 있어, 우태였던 132년과 147년 사이에 패자로 관등이 올랐음을 알 수가 있다. 패자는 나부의 최고위급 인사에게 수여하던 관등이었으므로 그가 관나부의 최고 실력자였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그가 임명된 좌보는 우보와 함께 고구려 최고의 관직이었다. 그중에서 좌보는 서열상 우보에 앞섰으므로 미유는 사실상 국왕을 제외한 고구려 최고위직에 오른 것이다. 이것은 미유와 관나부 세력이 차대왕의 최측근으로서 그의 즉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기록에는 차대왕 2년(147) 7월 좌보 목도루(穆度婁)가 은퇴하고 어지류(菸支留)가 좌보로 임명되는 것으로 나오고 있어, 미유는 우보로 임명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금경숙, 『고구려 전기 정치사 연구』(고대민족문화연구원, 2004)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한나래, 2004)
주석
주1

고구려를 형성한 부족. 국가 체제가 정비된 뒤에는 남부(南部), 전부(前部), 적부(赤部)로 불렀다.    우리말샘

집필자
조영광(전남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